▲신동섭 인천시의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
▲신동섭 인천시의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

적지 않은 지방 공공기관들이 방만한 경영과 경영 비효율로 언론과 시민의 따가운 시선을 받아왔다. 특히 과도한 급여와 시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복리후생제도가 질타의 대상이었다.

지난해 9월 기획재정부 및 행정안전부는 '지방공공기관 혁신방향'과 '지방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구조개혁'과 '재무건전성' 분야를 중심으로 지자체 지방 공공기관의 혁신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하였다. 인천시가 경영혁신 과제 실천에 의지를 갖고 '인천시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경영개선을 통한 시민 신뢰회복을 강조하게 된 것도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지난해 10월, 필자는 '하늘을 찌르는 도덕적 해이'라는 주제로 인천도시공사(iH) 경영진과 직원 모두가 자체 혁신을 위한 비상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iH는 높은 부채비율로 부채중점관리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으며 퇴직자 전관예우, 지원부서 비대화, 전국 유사·동종기관 대비 최고 수준 급여체계 등 문제가 많기 때문이다. 공공기관들의 긴장감 없는 경영행태에 대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물론 인천시만의 문제는 아니다.

지난해 6월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공공기관 혁신은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공기업 호화청사를 매각하고 임대를 통해 비용 절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도 '공공기관 파티는 끝났다'라는 말로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토부 산하에 큰 공기업이 많은데 부처는 재취업에 대한 이해관계 때문에 개혁에 한계가 있으니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이렇듯 정부에서부터 지자체에 이르기까지 공공기관 혁신은 해결되지 않은 과제였다. 이는 새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주요 개혁 대상으로 빠지지 않고 거론돼왔던 이유이기도 하다.

인천시가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국정과제에 맞춰 지방 공공기관의 효율성과 재무건전성을 높이기로 한 것은 긍정적이지만, 변화를 위한 의지가 혁신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아직 갈 길이 멀다.

iH는 'iH 재정건전화 혁신계획(안)'을 수립하고 있다. 이 혁신안 수립 후 정책이 실현되기까지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일하는 공기업의 변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자율책임경영이나 역량을 강화하는 일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iH는 부채비율 204.5%(2021년 결산기준)로 재무건전성 확보를 통한 자산건전화를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부동산 등 비핵심자산을 정비하여 유동자산을 확보하고, 경상경비를 절감해야 한다. 서운일반산업단지 조성개발㈜ 등 사업완료 출자회사를 정비하고, '우리집 1만호 주택건설사업'을 주택정책과로 이관하는 등 비핵심 사업(대행사업)을 정리해야 한다. 핵심사업 역량집중과 지원부서 슬림화를 통한 인력재배치로 인건비 비율을 낮추어야 한다. 또한 시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사내 복리후생제도를 활용한 과도한 경조사비 지급 등에 대한 자체점검을 통해 개선방안에 대한 혁신방안도 속히 마련해야 한다.

인천시는 지난 1월6일 보도자료를 통해 공공기관 관련 소관부서와 재정관리부서 등의 불분명한 지도·감독 권한에 대한 역할 명확화 및 효율적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공공기관 총괄부서' 신설 등 인천시 조직개편에도 노력하겠다고 하였다. 현재 재정기획관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지만 종합적인 혁신을 위해서는 유관부서와의 협력과 조정의 역할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iH의 설립취지는 시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혁신은 대국민 공공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방향이어야 한다. 뼈를 깎는 여러 시행착오가 있겠지만 iH가 혁신을 통해 신뢰받는 기관으로 다시 태어나기를 바란다.

/신동섭 인천시의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



관련기사
[의정칼럼] 인천시 내년 살림 '13조9157억원' 시민이 행복한 초일류도시를 추구하는 인천시의 2023년도 본예산이 13조9157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내년 예산은 금년 대비 5.9% 증가한 규모로 당초 인천시가 시의회에 제출한 안보다는 130억원이 감소됐다.내년에 반영된 예산안은 '활력이 넘치는 지역경제'와 '함께하는 따뜻한 인천' 그리고 '세계 초일류 도시기반 조성'에 그 핵심이 있다. 지역산업을 육성하고 소상공인에 지원을 늘려 활력 넘치는 지역경제를 만드는데 총 3조2144억원이 편성됐다.아울러 사회안전망 보강과 섬주민 삶의 질적 [의정칼럼] 2022년도 행정사무감사를 마치며 제9대 인천광역시의회 의원으로서의 첫 행정사무감사를 마무리했다. 300만 인천시민을 대신해 시 행정에 공백은 없는지, '혈세(血稅)'라고 하는 주민의 세금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밤낮없이 각종 자료를 뒤적이며 꼼꼼하게 살펴봤다. 행정사무감사 활동을 통해 집행부의 미진한 부분에 많은 지적을 쏟아냈음에도 늘 아쉬움이 남는다.이번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인천시가 당면한 각종 현안에 대한 계획을 집중적으로 질의했다. 가장 큰 무게감으로 다가왔던 것은 시의 부채와 관련된 문제였다. 레고랜드 사태를 통해 무리한 지방채 [의정칼럼] 강원도의 디폴트 선언과 인천시의 과제 레고랜드에서 촉발된 강원도의 디폴트 선언으로 자본시장이 빠르게 경직되고 있다. 지방공기업인 강원도시공사가 발행한 채권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인 강원도가 지급을 보증하지 못하겠다고 선언한 것에 대한 후폭풍으로 우량 공기업들이 발행한 공사채가 채권시장에서 외면 받고 있는 것이다. 지방공기업의 재정이 부실하면 지방자치단체의 자본금으로 충당할 수밖에 없는 만큼, 공사채나 지방채 모두 지방재정의 재정건전성을 위협하는 잠재적 요인이 되고 있다.지방자치단체는 세출 규모에 비해 자체 세입의 규모가 작아 정부의 의존재원에 의존하여 각종 사업을 추진해 [의정칼럼] 새로운 세금 먹는 하마, 인천연구원 '싱크탱크(think tank)'라는 단어가 있다. 여러 영역의 전문가를 조직적으로 모아 연구·개발하고, 그 성과를 제공하는 조직이라고 사전에서는 정의하고 있다. 지방연구원은 지방자치제도의 개선과 지역발전,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정책대안을 개발하는 역할과 함께 주요 연구과제를 수탁해 연구하고 그 결과를 도출한다. 지방연구원이 자체적으로 수익을 내기는 어렵기 때문에 일부 자체 수입에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연하는 예산으로 연간 사업을 운영해 나간다.인천의 지방연구원인 '인천연구원'은 인천의 싱크탱크 역할을 한다 [의정칼럼] 재정위기 의식 실종된 전국 부채 2위 인천도시공사 2015년 인천시는 39.9%의 높은 채무비율로 인해 재정위기 주의단체로 지정된 적이 있다. 채무비율이 40%를 넘으면 재정위기 심각 등급에 해당하는 데, 불과 0.1% 차이로 '심각'수준을 모면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재정 수준이 높은 수도권에 위치한 유일한 광역시인 인천의 입장에서 막대한 채무로 인해 재정위기 심각 수준 지정에 거론된 것은 매우 부끄러운 일이다.2015년 유정복 시장(현 민선 8기 시장)은 채무를 포함한 인천시의 부채를 줄이기 위한 과감한 자구책을 내놓았다. 인천시 소유의 부동산 및 출자법인 주식을 [기고] 시민을 위한 지방공기업이 필요한 때 지난 1월 인천의 한 사회복지시설 구내식당에 안내문 한장이 붙었다. 안내문에는 구내식당 운영 중지와 2월1일부터 식당 이용 불가, 향후 운영 재개에 대한 계획 미지수이며 추후 별도로 공지한다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다.해당 사회복지시설에 입주해 있는 사회복지 관련 단체는 약 30여 개로 180여 명이 상주하며, 시설 이용자까지 합치면 많은 인원이 출입하고 있다. 이들 중 대다수는 장애인으로 이동권에 제약이 있는 시민들이다. 공교롭게도 이 시설의 주변에는 주택만 가득할 뿐 제대로 된 식당가가 없어 앞으로 종사자와 시설 이용자들의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