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지 중 기업·개인 소유 94%
토지주協, 도시개발구역 지정 신청
“재산권 침해” 경자구역 반대 입장
스마트오토밸리 임대료 최대 쟁점
▲ 송도유원지 구역별 사업 추진 현황./자료출처·제작=인천시·이연선 기자
▲ 송도유원지 구역별 사업 추진 현황./자료출처·제작=인천시·이연선 기자

인천 송도유원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선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지난 수십 년간 재산권 행사를 제한받은 토지 소유주들의 반발과 그 터 안에 1500여 개 업체가 모여 있는 송도 중고차 수출단지 이전 문제다.

송도유원지(1~5블록·전체 면적 90만7380㎡) 토지소유자 현황을 보면, 전체 국·공유지는 5만4001㎡(6.0%)에 불과하고 기업과 개인 소유의 부지가 각각 58만2327㎡(64.2%), 27만1052㎡(29.8%)에 이른다.

지난해 수립된 2040인천도시기본계획에서 '시가화 예정용지'로 반영된 토지 소유주들은 협의회를 구성하고 자체 도시개발 계획을 그리고 있다. 이들은 연수구에 도시개발 사업구역지정을 신청한 상태다.

송도 유원지 토지주 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박순용씨는 “인천시가 큰 그림을 가지고 송도유원지 개발에 나서야 한다는 데 원론적으로 찬성하는 입장이다”면서도 “지난 수 십년간 유원지 시설로 묶여 재산권 행사를 하지 못했는데 이제 여건이 좀 풀리니까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겠다는 것은 토지 소유주로서는 도저히 용납하기 힘든 문제다”라고 말했다.

중고차수출단지 이전도 걸림돌이다.

1970년 전국 최초로 유원지 시설로 지정된 송도 유원지 일대에 지금과 같은 중고차 수출단지가 조성되기 시작한 건 2000년대 초 무렵부터다. 이때부터 공유수면 매립으로 조성된 1~3블록(45만5031㎡)에 하나 둘 들어선 중고차 수출업체가 2014년부터는 옛 송도유원지(4블록·25만4403㎡)까지 야적장으로 쓰이면서 유원지 일대가 사실상 '중고차수출단지화'됐다.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중고차 수출 규모는 총 46만6000대로 이 중 87.7%인 40만9000대가 인천항을 통해 수출됐다.

송도 중고차 수출 단지는 국내에서 첫손가락으로 꼽히는 대규모이지만 업체 대부분이 컨테이너나 폐차한 버스를 사무실로 사용하는 등 매우 영세한데다 야적장에 중고차를 놓고 방문한 중개인들에게 판매하는 이른바 '마당장사' 방식으로 거래 시스템도 낙후됐다.

이와 관련해 IPA는 남항 역무선 부두 인근에 총 39만8155㎡ 규모의 친환경·첨단 중고자동차 수출 클러스터(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를 단계별(1단계∼2단계)로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재공모를 통해 카마존㈜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향후 시설이 조성되면 임대료 책정 문제가 중고차 수출업계 최대 관건이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3면 <[경제자유구역 확대, 현장을 가다] 2. 위기의 중고차 수출단지>

/이슈팀



관련기사
[경제자유구역 확대, 현장을 가다] 2. 위기의 중고차 수출단지 송도유원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인천시가 가장 먼저 맞닥뜨릴 현실적인 문제는 이곳 토지주들의 거센 반발이다.송도유원지(1~5블록·전체 면적 90만7380㎡) 토지소유자 현황을 보면 박순용(69·송도유원지 토지주 협의회 회장) 씨 등 사유지가 27만1052㎡로 전체 3분의 1에 해당한다.현재 사유지 대부분은 3블록에 집중돼 있다.이곳은 인근 1·2블록과 함께 2020년 장기 미집행에 따른 일몰제로 30여년 만에 유원지 시설에서 풀린 후 지난해 2040인천도시기본계획상 '시가화 예정용지'로 반영된 [경제자유구역 확대, 현장을 가다] 1. 기로에 선 옛 송도유원지 한때 수도권 최고의 휴양지로 손꼽히던 국민 놀이터인 송도유원지가 천덕꾸러기로 방치되고 있다. 인천에서 나고 자란 시민이라면 누구나 한 번 이상은 방문했을 송도유원지.송도유원지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휴식공간 구실을 했다. 일제강점기인 1937년 해수 풀장을 갖춘 위락시설로 문을 열었고, 1963년 바닷물을 끌어온 인공 해수욕장 등과 같은 현대적 시설을 갖춘 뒤 휴양지로 재개장했다. 1970년 전국 최초 유원지 시설로 지정되면서 관광객이 몰렸다. 대관람차에 오르면 인천 앞바다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었다. 인공 백사장에는 부모 손을 잡고 [경제자유구역 확대, 현장을 가다] 인천시민 추억 잠들어있는 송도유원지, 활로 찾나 인천시가 민선 8기 유정복 시장의 1호 공약인 '제물포 르네상스'와 '뉴 홍콩시티' 프로젝트를 위해 경제자유구역(Free Economic Zone·FEZ)을 확대·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해당 지역 일대가 들썩이고 있다. 대상지는 인천내항(1·8부두)과 북부권(수도권매립지·강화남단), 송도유원지 일원이다. 송도유원지는 미추홀구 학익동과 연수구 동춘·옥련동에 걸쳐 156만9256㎡에 이르며 옛 송도유원지(4블록·약25만4403㎡)를 포함하고 있다. 그간 '중고차 수출 야적장'이라는 [경제자유구역 확대, 현장을 가다] 3. 통합계획, 융합개발로 가자 옛 송도유원지 일대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개발 계획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에는 유원지에 얽혀있는 복잡한 이해관계 문제가 있다.각자도생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계획을 수립해 개발에 나선다면 난개발 문제를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송도국제도시 조성 등으로 과거와 비교하면 유원지 입지 조건이 크게 개선된 점도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2019년 '송도유원지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구상' 용역을 진행한 ㈜동명기술공단은 “당초 송도유원지는 뚜렷한 역사와 정체성을 보유했으나 주변 여건 변화(매립, 해안도로 조성 등) [경제자유구역 확대, 현장을 가다] 송도유원지 일대, 숙의 모아 최적 방안 찾아야 2019년 11월,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청라 경제자유구역과 맞닿은 서부산업단지(93만8624㎡)와 그 주변 생산녹지 등 115만9000㎡를 경제자유구역 확대지정을 추진했다.2020년 11월 준공을 목표로 시비 6억3380만원을 들여 '서부산단 일원 경제자유구역 확대지정 기본구상 및 타당성 사전검토' 용역에 들어갔다. 주물 등 악취유발사업을 대신할 첨단산업 유치와 구조 고도화가 목적이었다.경제자유구역 확대지정 추진은 보상에 대한 기대심리로 땅값 상승세를 부추겼다. 당시 이면도로를 낀 주물단지 안 사업장의 땅값이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