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지난해 인천의 인구가 2035년부터 부산을 앞지른다고 예측했다. 장래 인구 추계(2020~2050년) 시·도별 현황을 보면, 인천 총인구는 2020년 295만명대에서 2035년 297만명으로 정점을 찍을 전망이다. 같은 기간 인천과 규모가 비슷한 부산의 인구는 2020년 336만명에서 2035년 296만명에 이른다. 인천보다 인구수가 처음으로 적어지는 셈이다. 이러면 인천은 인구수론 경기와 서울 다음으로 많은 지역, 우리나라 '제2 도시'에 오르게 된다.

이처럼 인천이 증가하는 인구의 위상에 걸맞게 행정 조직을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국 광역시 중 인천만 유일하게 인구가 늘어나면서 10여년 후 부산을 뛰어넘는 도시로 예상되자, 행정적으로도 뒷받침해야 한다는 얘기다.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 문제 속에서도 인천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데 따라 행정 조직을 확대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그래도 이를 넓히기엔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높다.

현재 각 시·도는 행정안전부의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 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근거해 조직을 구성한다. 시·도에서 설치할 수 있는 실·국·본부는 인구에 따라 달라진다. 설치 가능한 실·국·본부 수는 인구 250만 이상 300만 미만일 경우 12개 이상 14개 이하, 300만 이상 350만 미만이면 13개 이상 15개 이하로 인구 50만 격차를 두고 나뉜다. 법정 수로 특례 조항에 따라 법정 기구의 20%까지 추가로 자율 기구를 신설할 수는 있다. 300만 이상일 때 최대 2개 더 많은 기구를 설치할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300만 기준은 어쩔 수 없는 제약이다.

인천시는 이와 관련해 인구 50만을 기준으로 나눈 구간을 더 세분화하거나 특례조항 등을 신설해야 한다고 행안부에 건의했다. 그러면 5~6개 과로 짜인 국 1개는 적게는 50명, 많게는 100명의 직원으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다양화한 행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한다. 조직을 확대하면 시민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더 많아지게 된다. 인천의 도시 규모가 계속 성장하는 만큼, 이에 걸맞은 행정 조직 개편은 불기피할 수밖에 없다. 행안부의 적절한 조치를 촉구한다.



관련기사
인천, 부산 넘어 '제2도시' 도약…조직 확대 시급 인천이 증가하는 인구의 위상에 맞는 행정 조직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전국 광역시 중 인천만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면서 2035년 부산을 뛰어넘어 '제2도시'로서 위상을 떨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행정적으로도 뒷받침해야 한다는 것이다.11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 인구는 296만4820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며 2034년 297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6개 광역시 중 인천시만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특히 2035년이면 부산 인구인 295만9000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