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정치는 '일'로 삼지 말고 '도'로 행하라
▲ 홀로 사는 여자를 가리키거나 임금이 자신을 낮추어 말할 때 寡(과)를 쓴다.  / 그림=소헌
▲ 홀로 사는 여자를 가리키거나 임금이 자신을 낮추어 말할 때 寡(과)를 쓴다. / 그림=소헌

“결과가 수단을 정당한 것으로 만든다.” 마키아벨리(1469~1527)가 지은 「군주론」의 핵심이다. 당시 분열된 이탈리아의 통일을 위해서 군주는 강한 결단과 권모술수라는 수단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책은 서구 정치학의 고전이 되었다. 덧붙여 설명하자면 군주에게 가장 중요한 일은 나라를 번영시키는 일이며, 그렇게 만들기 위해서 무슨 짓을 하든 추앙받게 된다는 것이다. 그의 정치철학이 담긴 군주론은 극단적인 군주주의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심지어 교황청으로부터 금서禁書 목록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그가 노자를 만났다면 어떤 생각을 갖게 되었을지 궁금하다.

“다시 옛날로 돌아가 새끼를 묶어서 문자로 사용해야 한다.” 노자가 추구하는 정치철학은 무위無爲로 귀결된다. 그것은 仁이나 禮로 다스리지 않는 정치를 말한다. 따라서 유가儒家의 학풍과도 상반된 견해를 갖는다. 小國寡民(소국과민)은 작은 국토와 적은 民人을 지향하는 국가관으로 노자가 그린 이상적인 나라다. 문명의 이로움이 있어도 쓰지 않고, 백성이 먼 곳으로 떠돌지 않게 한다. 비록 배나 수레가 있어도 타고 다닐 필요가 없고, 무기가 있어도 쓸 필요가 없다. 문명은 자연법칙과 도리를 따라 선용善用되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으니 차라리 없었던 것만 못하다. 보라 오늘날 과학이 눈부시게 발달함으로 인해 오히려 극심한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忘(망)은 잊는 것이고, 知(지)는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말한다. 도덕경 제48장 忘知(망지-알고 있는 것을 잊는다)에서는 더 좋은 것(道)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다른 것은 모두 잊어야 함을 논하고 있다. 본문에서 ‘學(학)’은 인의예지를 추구하는 유가적인 학문을 뜻한다. 노자는 이러한 인위적인 법도를 반대한다. ‘無爲(무위)’야말로 민중이 평화롭게 살아가는 길이라고 말한다. 제18장(속박俗薄)에서는 속세에 도가 없으면 이를 대신하여 인의예지仁義禮智 등이 판을 치게 된다고 보았다. ‘取(취)’는 천하를 취하는 것으로 다스린다(治치)는 뜻이다. 及(급)은 若(약)으로 썼으며, 有事(유사)는 교령이나 형벌로 다스린다는 뜻이다.

학문을 하면 나날이 일삼는 일이 늘어나고 도를 행하면 나날이 일삼는 일이 줄어든다. 줄고 또 줄어 나중에는 무위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무위의 경지에 들면 이루지 못하는 것이 없게 된다. 천하를 다스리고자 한다면 반드시 무위해야 한다. 만약에 有事로 꾀하려고 한다면 천하를 잘 다스릴 수가 없다. (爲學日益 爲道日損. 損之又損 以至於無爲. 無爲而無不爲. 取天下常以無事. 及其有事 不足以取天下. 「道德經」 第48章-忘知)

 

寡 과 [적다 / 홀로 되다 / 돌보다]

​①寡(과)의 유래는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②한 집안(宀면)의 머리인(頁혈.변형) 남편과 헤어져(分분) 여자 혼자 산다는 뜻과 ③집(宀)에 저장해 둔 재물을 나누어(頒반) 주면 줄어든다는 데서 적다는 뜻이 되었다. ④말수가 적고 침착한 사람을 ‘과묵하다’고 하는데, 그 寡默(과묵)이다.

덕 있는 임금은 자신을 표현할 때 스스로 낮추어 부족한(寡) 것을 강조하여 寡人(과인)이라고 한다. 백성을 잘 돌보지 못하여 곡식보다 못하다는 不穀(불곡)과도 통한다. 현명한 군주는 仁이나 禮로 다스리지 않는 정치를 해야 한다. 그리고 ‘무언가’를 하려고 애쓰지 말라. 학문이나 정치나 ‘일’로써 하면 함께 족쇄도 커지면서 일삼는 일이 늘어난다. 이에 비해 도를 실행하면 그 족쇄를 벗게 되어 인위적으로 일삼는 일이 줄게 되고 자연스럽게 나라는 부강하게 된다.

 

▲ 전성배 한문학자·민족언어연구원장·<수필처럼 한자> 저자.
▲ 전성배 한문학자·민족언어연구원장·수필처럼 한자 저자.

/전성배 한문학자·민족언어연구원장·수필처럼 한자 저자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老子 한국을 말하다] 47. 거울에 비추어 보다 매서운 한파보다도 더 싸늘했던 일제 강점기 시절은 우리의 말과 글과 이름과 그리고 젊음과 꿈도 모두 빼앗긴 암흑기였다. 윤동주는 나라의 독립을 희망하며 절망에 빠진 민족을 사랑했으며, 자신에게 주어진 길을 묵묵히 걸어갔다. 광복을 6개월 앞둔 1945년 2월 16일, ‘동주’는 일본 후쿠오카형무소에서 28세의 나이로 순국한다. 그의 詩 <참회록>은 암울한 역사에 처한 상황에서 자기성찰을 통하여 참회와 순수를 회복하려는 강한 의지가 담겼다.「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속에 / 내 얼굴이 남아 있는 것은 / 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 / 이다 [老子 한국을 말하다] 46. 솟구치는 탐욕을 버려라 여성 독립운동가 남자현의 남편은 의병을 일으켜 싸우다 전사한다. 그녀의 나이 46세에 3·1운동이 일어나자 일제와 맞서 싸우는 일이 남편의 원수를 갚는 길임을 깨닫고 국경을 넘어 ‘서로군정서’에 들어간다. 지사는 망명생활 6년만​에 사이토 마코토 총독을 주살하기 위해 국내에 잠입한다. 하지만 일경의 삼엄한 경계로 인해 뜻을 이루지 못했다. 1932년 9월 ‘국제연맹 조사단’이 하얼빈에 파견된다는 소식을 접하자, 지시는 일제의 만행을 호소하기 위해 약손가락을 잘라 ‘朝鮮獨立願’이라고 쓴 후, 흰 천에 함께 싸서 조사단에 전달한다. 이 [老子 한국을 말하다] 45. 널리 덕을 행하라 “내 이름은 오드리 캐슬린 러스턴입니다. 태어난 곳은 벨기에지만, 어린 시절에는 네덜란드에서 자랐습니다. 독일군이 식량을 모조리 수탈해가는 바람에 튤립덩이뿌리를 캐 먹을 정도로 굶주림에 시달렸습니다. 그때 유니세프에서 지원해 준 음식을 허겁지겁 먹다 속탈이 났던 경험이 있지요. 그것은 훗날 내가 자선사업활동을 하는 계기가 되었답니다. 사람들은 나를 향해 최고의 미녀 배우로 꼽으며 영원한 미의 상징으로 찬사를 보내지만, 그보다는 '박애주의자'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합니다.”사람은 때로 실체와는 정반대로 판단하는 경우가 있 [老子 한국을 말하다] 44. 가치의 기준을 세우다 “가장 완벽한 계획이 뭔지 알아? 무계획이야.” 여러 사업에 실패한 아버지 기택(송강호 扮), 해머던지기 선수 출신인 어머니 충숙(장혜진 扮), 명문대 지망 4수생 아들 기우(최우식 扮), 미대 지망생 딸 기정(박소담 扮)은 반지하 집에서 살아가는 백수 가족이다. 집안에는 꼽등이와 바퀴벌레가 득실거리고, 그들은 피자박스 접기로 생계를 이어간다. 박 사장(이선균 扮)은 글로벌 IT 기업의 CEO로서 굉장한 부자다. 명문대생으로 위장한 기우는 그 집 딸의 고액과외를 맡게 되고, 이후 기정도 아들의 미술치료 과외 선생님으로 고용된다. 게 [老子 한국을 말하다] 43. 두루 쓰이다 “갈 길을 찾아 국자 위에서 버둥거리는 물방개를 본 일이 있는가? 좋은 경품 놔두고 '꽝'만을 찾아다니는 쇠 대야 안의 물방개. 나는 꽝이 아니라 잉어를 타고 싶다.”어릴 때 학교 앞에는 갖가지 야바위꾼들이 나를 유혹했다. 특히 물방개의 유혹은 강렬했다. ‘스뎅대야’에는 찰랑찰랑 물이 담겼다. 도톰한 물방개는 그 안에서 자유형을 즐겼다. 대야 안쪽은 물방개가 들어갈 만한 크기로 자잘하게 칸막이가 나눠져 있고, 칸막이마다 검정 매직으로 ‘잉어·꽝·용·꽝·단검·꽝·호랑이·꽝’이라고 쓰여 있다. 말하자면 운명의 수레바퀴, [老子 한국을 말하다] 50. 아주 소중한 삶 “내가 가는 이 길이 어디로 가는지 어디로 날 데려가는지. 그 곳은 어딘지 알 수 없지만 오늘도 난 걸어가고 있네. 사람들은 길이 다 정해져 있는지 아니면 자기가 자신의 길을 만들어 가는지 알 수 없지만 이렇게 또 걸어가고 있네. 나는 왜 이 길에 서있나. 이게 정말 나의 길인가. 이 길의 끝에서 내 꿈은 이뤄질까.” - 가수 god <길>.더러는 사람의 일생을 계절에 비유하곤 하는데, 동지冬至 즈음의 이 시기를 말년으로 비유할 수 있겠다. 누구나 저마다의 길을 걷는다. 무엇이 소중한가? 돈인가 명예인가 사람인가. 貴(귀)는 소중하 [老子 한국을 말하다] 51. 덕을 쌓다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는 저서 「사피엔스」에서 사람이 가축을 만드는 과정을 설명했다. “먼저 짐승 떼를 빙 둘러 울타리를 치고는 빠져나오려고 하는 놈 먼저 잡아먹고, 다음으로는 울타리 안에서 사납게 구는 놈을 잡아먹는다. 이때 겁먹은 놈에게는 먹이를 주며 새끼를 낳게 하곤 했더니 차차 사람 말을 잘 듣는 가축이 만들어졌다.” 그의 이론에 의하면, 가축화로 인해 소·말·양·돼지·닭 등은 번식에 성공했다. 오늘날에도 비참하게 사육되고 도살되는 닭이나 돼지, 이 종種들에게 농업혁명은 끔찍한 재앙이다. 과연 성공한 종일까? 養(양)은 기 [老子 한국을 말하다] 52. 처음으로 돌아가자 별주부의 꾐에 빠져 수궁으로 향한 토끼. 나졸들이 포위하자 자기는 토끼가 아니라며 상황을 회피한다. 「금군 모조리 순령수 일시에 내달아 토끼를 에워쌀 제. 진황 만리장성 싸듯 산양 싸움에 마초 싸듯 첩첩이 둘러싸고 토끼 들이쳐 잡는 거동. 영문출사 도적 잡듯 토끼 두 귀를 꽉 잡고 “네가 이놈 토끼냐?” 토끼 벌렁벌렁 떨며 “토끼 아니요.” “그러면 무엇이냐?” “개요.” “개 같으면 더욱 좋다. 삼복달임에 너를 잡어 약개장도 좋거니와 만병회춘의 명약이라” “아이고 개도 아니고 송아지요.” “소 같으면 더욱 좋다. 천엽 콩팥 후박 [老子 한국을 말한다] 53. 증거를 더한다 정치자금을 많이 기부하면서 특권을 누리는 탐욕스런 자본가들을 ‘살찐 고양이’로 비유한다. 이 용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은행들이 파산하면서 직원들은 임금삭감과 구조조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데 반해, 은행가들은 고액의 연봉과 보너스를 받고 거기에 세제혜택까지 누리는 행태를 비꼬며 유행하였다. 우리나라 상위 10%가 평균 180,000,000원을 벌 때, 하위 50%는 평균 12,000,000원을 번다고 한다. 소득격차 14배, 부동산 등을 포함하면 무려 52배 격차가 난다. ‘살찐 고양이법’은 사회양극화를 해소하고 소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