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자동차를 생활 필수품으로 여기는 미국에선 짧은 거리에도 차를 끌고 가야 한다. 대부분 도시에 대중교통이 발달하지 않아서다. 나이 지긋한 이들이 차를 운전하면서 쩔쩔 매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 나라다. '문명국가'라고 부르기엔 뭔가 찝찝한 기분이 난다. 그런가 하면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배출 가스가 엄청나 기후변화 주범으로 찍히기도 한다. 요즘은 제조업체마다 환경오염을 줄이려고 가솔린·경유차 대신 수소·전기차 등의 개발에 힘을 쏟는다.

기름 한방울 나지 않는 국내에서도 이젠 자동차 없이 생활하기 어려운 시대를 맞았다. 불과 30여년 전만 해도 대부분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자가용'이 대세를 이룬다. 어디를 가나 홍수를 이루는 차로 헤어나기 힘들 정도다. 당국에서도 차량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정책을 짜느라 고심한다. 아무튼 차는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듯하다. 자동차에 대해 슬기롭게 대처하는 자세는 시대 요청 명제이기도 하다.

한국 자동차의 역사는 인천에서 시작됐다. 1962년 국내 첫 자동차 조립 생산 라인을 구축한 새나라자동차 부평공장을 준공했다. 그해 11월부터 닛산 블루버드를 만들었지만, 수입 부품 생산 차질로 1년여 만에 문을 닫았다. 이어 1965년 신진자동차가 새나라자동차를 인수하면서 부평공장을 확장했다. 일본 도요타와 합작해 버스·트럭과 함께 코로나·크라운 등의 승용차를 생산했다. 코로나는 1966년 출시 이후 1972년까지 누적 4만4248대의 판매고를 올렸을 만큼 인기를 누렸다.

신진자동차는 1972년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공동으로 자본금을 출자해 지엠코리아(GMK)를 설립했으나, 당시 오일쇼크로 인한 판매 부진으로 부도를 냈다. 결국 산업은행이 GMK의 신진자동차 보유 지분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새한자동차로 사명을 바꿨다. 그리고 대우그룹이 새한자동차를 인수해 1983년 부평공장에 기술연구소를 세우고, 1992년 남은 GM 지분을 넘겨받아 독자 노선을 걷는다. 하지만 대우그룹은 1997년 금융위기 여파로 해체됐고, 2002년 GM대우가 출범한 데 이어 2011년에는 아예 사명에서 대우를 뺐다.

그렇게 국내 자동차 생산의 요람 구실을 한 한국지엠의 부평2공장이 지난달 26일 생산 종료와 함께 폐쇄됐다. 소속 노동자 1200여명은 각각 창원공장 700여명·부평1공장 500여명으로 나눠 배치된다.

부평2공장은 사라졌지만, 부평1공장은 계속 가동된다. 온갖 부침 속에서도 빠르게 성장해온 한국 자동차는 현재 세계 10대 생산국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국가 경제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자동차 생산의 변화를 주목한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강화 묘지사 터의 재발견 따듯하게 데운 돌이란 뜻의 온돌은 한국 고유의 난방 방식이다. 우리 역사 속 주거문화에서 떼려야 뗄 수 없다. 방바닥에 돌을 깔고, 아궁이에 불을 지펴서 방을 데우는 구조다. 뜨거운 열을 바로 전달하는 아랫목 돌은 두껍게, 열을 느즈막히 연결하는 윗목 돌은 얇게 놓는다. 온돌은 과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먼저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그 열기가 방 바닥에 깔아놓은 구들장으로 전해진다. 열의 전도 원리이다. 데워진 구들장에서 나온 열기는 방 전체에 퍼진다. 열의 복사 현상이다. 방을 훈훈하게 만드는 온돌은 꾸준히 개량돼 왔다. 최근 [썰물밀물] 인천 한센인 마을의 희소식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숨 막히는 더위뿐이더라/낯선 친구 만나면/우리들 문둥이끼리 반갑다∼/버드나무 밑에서 지까다비를 벗으면/발가락이 또 한 개 없다/앞으로 남은 두 개의 발가락이 잘릴 때까지/가도 가도 천리 먼 전라도 길."한하운(韓何雲, 1919~1975) 시인이 1949년 발표한 '전라도 길' 일부다. 한때 문둥이로 불리던 나환자로서, 발가락이 잘려 나간 상태에서도 천 리 길을 걸어가야 하는 절절함이 오롯이 묻어난다. 한센병을 앓았던 그는 “보리 피리 불며/봄 언덕/고향 그리워/피 닐니리.∼”란 '보리 [썰물밀물] 옛 인천시장 관사의 탈바꿈 개항(1883년) 이후 숱한 서구 문물이 쏟아져 들어온 인천 개항장은 정치·외교·경제·문화의 중심지였다. 생생한 한국 근대사의 모습을 보여주는 흔적들이 아직도 남아 있다. 외국인들이 자유롭게 거주하며 치외법권을 누렸던 조계지, 각계 고위층이 사교를 위해 모였던 제물포구락부, 시장이 살았던 관사 등 수두룩하다. 인천항과 개항로를 중심으로 한 지금의 중구가 그렇다. 인천시가 국내 최초의 서구식 공원인 자유공원 등이 있는 송학동 일대를 '역사산책공간'으로 만드는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다. 이들 흔적 가운데 인천시장이 살던 관 [썰물밀물] 전당포의 기억 전당포(典當鋪)는 물건을 담보로 잡고 돈을 빌려주는 사금융업의 일종이다. 우리나라엔 개화기 때 일본인들이 처음으로 전당포를 세웠다고 한다. 은행을 이용할 수 없는 서민들이 급전을 구할 수 있는 유용한 역할을 했다. 신용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당포 대출은 서민들에겐 마치 목마른 이에게 갈증을 해소하는 일과 마찬가지였다. 요즘은 급하면 은행으로 달려가거나 카드로 현금서비스를 받는 등 '신용사회'로 진입한 까닭에 전당포는 점차 사라지는 추세다.전당포는 1960~70년대엔 TV·냉장고 따위의 가전제품을 자주 담보로 잡았고 [썰물밀물] 영종도 경원종 복원에 대해 영종도의 본디 이름은 자연도(紫燕島)다. 자줏빛 제비섬이라는 뜻이다. 고려 인종 때 방문한 송나라 사신 서긍이 귀국 뒤 여러 가지 견문을 모아 엮어낸 '고려도경'에 기록돼 있다. 당시 경원정(慶源亭) 맞은 편 섬에 제비가 많이 날아 붙여졌다고 전해 내려온다. 한 풍수지리가가 인천국제공항 개항 한참 전에 “영종도는 제비가 날 듯이 비행기들이 뜨고 내릴 섬”이라고 '예언'한 바와 일맥상통해 놀랍다.서긍이 개경으로 들어가기 전 자연도에 묵었던 경원정이 새삼 주목을 받는다. 경원정은 고려 때 중국 사신이나 상인 [썰물밀물] '빛의 도시' 인천을 새롭게 어둠은 빛을 이기지 못한다. 밝아오는 아침은 우리에게 희망을 얘기한다. “닭 목아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오고야 만다”는 말이 있듯, 찬란하게 비출 여명은 어둠을 뚫고 나오는 미래다. 빛은 어두운 곳을 밝히므로 광명(光明)을 상징하기도 한다. 칠흑 같은 암울함에서 벗어나게 하는 빛은 홀로 처연하기까지 하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를 드리우지만, 어둠은 곧 사그러들기 마련이다.요즘엔 인위적으로 전기를 얻어 어두운 밤에도 빛을 밝힌다. 그 덕분에 우리는 밤에도 자유롭게 나다니면서 갖가지 활동을 벌인다. 그렇게 된 데엔 불과 한세기도 걸리지 않 [썰물밀물] 하와이 교민들의 '인천 사랑' 인천은 세계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관문도시다. 인천국제공항은 오늘도 세계 곳곳의 인종을 싣고 내리면서 명실공히 우리나라의 '얼굴'로 자리잡았다. 인천은 그만큼 다양한 민족과 교포 등을 수용하면서 더 큰 도시로 나아가려고 힘을 쏟고 있다. 그런 생각과 의지를 품은 지는 아주 오래됐다. 이젠 제물포에서 출발(1902년 12월22일)한 한인 최초 이민단의 후손을 비롯해 각국에서 오가는 이들을 포용하는 곳으로 성장을 거듭한다.인천시는 인천을 통해 세계로 퍼져나간 교민들을 하나로 잇는 '재외동포청 유치'를 추진 [썰물밀물] 세 밑에 서서 “시시비비도불관(是是非非都不關) 산산수수임자한(山山水水任自閑) 막문서천안양국(莫問西天安養國) 백운단처유청산(白雲斷處有靑山) - 옳거니 그르거니 상관하지 말아라. 산은 산 물은 물 그대로 두라. 서쪽 하늘에 극락이 있냐고 묻지 말라. 흰 구름 걷힌 곳에 청산이 있을지니.”문득 임제(臨濟) 선사(?~867)의 시가 생각나는 연말이다. “머무는 곳마다 주인이 되어라. 그러면 서 있는 곳이 모두 참되리라.(隨處作主 立處皆眞-수처작주 입처개진)”란 어록으로 유명한 당 시대 고승이다.어김없이 한 해가 저문다. 올해는 또 무슨 시비를 하며 끓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