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따듯하게 데운 돌이란 뜻의 온돌은 한국 고유의 난방 방식이다. 우리 역사 속 주거문화에서 떼려야 뗄 수 없다. 방바닥에 돌을 깔고, 아궁이에 불을 지펴서 방을 데우는 구조다. 뜨거운 열을 바로 전달하는 아랫목 돌은 두껍게, 열을 느즈막히 연결하는 윗목 돌은 얇게 놓는다. 온돌은 과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먼저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그 열기가 방 바닥에 깔아놓은 구들장으로 전해진다. 열의 전도 원리이다. 데워진 구들장에서 나온 열기는 방 전체에 퍼진다. 열의 복사 현상이다. 방을 훈훈하게 만드는 온돌은 꾸준히 개량돼 왔다. 최근엔 온돌 대신 온수 파이프를 묻어 바닥을 덥히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이처럼 한국인들이 온돌을 애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온돌은 우리말로 '구들'이라고 한다. 구들은 '구운 돌'의 약자이다. 그러니까 구운 돌로 바닥을 데우는 방법이다. 손발을 따뜻하게 하고, 머리를 차갑게 하는 게 건강에 좋다고 한다. 온돌은 바로 이를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온돌은 경제적 난방 방식이다. 열량을 구들에 쌓아놓고 오랫동안 열을 내게 할 수 있다. 온돌은 방을 데우는 데 그치지 않고, 음식을 조리하는 데도 긴요하게 쓰인다.

고려시대 온돌 건물터가 강화도에서 발견돼 관심을 모은다. 국립문화재연구원 강화문화재연구소는 최근 고려 강도(江都·전시수도) 시기의 사찰 유적인 '강화 묘지사(妙智寺) 터'에서 온돌을 사용한 건물터를 확인했다. 고려가 몽골 침략에 맞서 개경에서 강화도로 천도한 1232년(고종 19년)부터 1270년(원종 11년)까지를 강도로 일컫는다. 고려사(高麗史)를 보면, 묘지사는 1264년(원종 5년) 임금이 마니산 참성단에서 제사를 지내기 전 머물던 사찰이었다. 지난 9월부터 조사를 진행한 강화문화재연구소는 문헌상으로만 알려진 묘지사 터에서 온돌 존재를 밝히는 쾌거를 이뤘다.

건물터는 너비 16.5m, 길이 6.3m 규모로, 구들장 길이는 70~120㎝에 이른다. 현재까지 발견된 다른 온돌 시설물보다 큰 규모를 자랑한다. 기록에 따르면 방 전체에 구들을 설치한 전면 온돌방은 고려 후기부터 등장했다고 한다. 그에 앞선 시기에 이미 구조를 명확히 한 대형 온돌 건물터를 확인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강화도는 40여년 동안 고려의 수도였는데도, 그 시기 유적은 많이 발굴되진 않았다.

한 나라의 유물이나 사적은 국민의 자긍심과 연결된다. 앞으로 묘지사 터의 학술 자료를 토대로 그 가치를 일깨우고 보존해 나가야 함은 물론이다.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민의 다양한 참여를 유도하는 등 지속적인 힘을 쏟아야 할 터이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인천 한센인 마을의 희소식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숨 막히는 더위뿐이더라/낯선 친구 만나면/우리들 문둥이끼리 반갑다∼/버드나무 밑에서 지까다비를 벗으면/발가락이 또 한 개 없다/앞으로 남은 두 개의 발가락이 잘릴 때까지/가도 가도 천리 먼 전라도 길."한하운(韓何雲, 1919~1975) 시인이 1949년 발표한 '전라도 길' 일부다. 한때 문둥이로 불리던 나환자로서, 발가락이 잘려 나간 상태에서도 천 리 길을 걸어가야 하는 절절함이 오롯이 묻어난다. 한센병을 앓았던 그는 “보리 피리 불며/봄 언덕/고향 그리워/피 닐니리.∼”란 '보리 [썰물밀물] 옛 인천시장 관사의 탈바꿈 개항(1883년) 이후 숱한 서구 문물이 쏟아져 들어온 인천 개항장은 정치·외교·경제·문화의 중심지였다. 생생한 한국 근대사의 모습을 보여주는 흔적들이 아직도 남아 있다. 외국인들이 자유롭게 거주하며 치외법권을 누렸던 조계지, 각계 고위층이 사교를 위해 모였던 제물포구락부, 시장이 살았던 관사 등 수두룩하다. 인천항과 개항로를 중심으로 한 지금의 중구가 그렇다. 인천시가 국내 최초의 서구식 공원인 자유공원 등이 있는 송학동 일대를 '역사산책공간'으로 만드는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다. 이들 흔적 가운데 인천시장이 살던 관 [썰물밀물] 전당포의 기억 전당포(典當鋪)는 물건을 담보로 잡고 돈을 빌려주는 사금융업의 일종이다. 우리나라엔 개화기 때 일본인들이 처음으로 전당포를 세웠다고 한다. 은행을 이용할 수 없는 서민들이 급전을 구할 수 있는 유용한 역할을 했다. 신용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당포 대출은 서민들에겐 마치 목마른 이에게 갈증을 해소하는 일과 마찬가지였다. 요즘은 급하면 은행으로 달려가거나 카드로 현금서비스를 받는 등 '신용사회'로 진입한 까닭에 전당포는 점차 사라지는 추세다.전당포는 1960~70년대엔 TV·냉장고 따위의 가전제품을 자주 담보로 잡았고 [썰물밀물] 영종도 경원종 복원에 대해 영종도의 본디 이름은 자연도(紫燕島)다. 자줏빛 제비섬이라는 뜻이다. 고려 인종 때 방문한 송나라 사신 서긍이 귀국 뒤 여러 가지 견문을 모아 엮어낸 '고려도경'에 기록돼 있다. 당시 경원정(慶源亭) 맞은 편 섬에 제비가 많이 날아 붙여졌다고 전해 내려온다. 한 풍수지리가가 인천국제공항 개항 한참 전에 “영종도는 제비가 날 듯이 비행기들이 뜨고 내릴 섬”이라고 '예언'한 바와 일맥상통해 놀랍다.서긍이 개경으로 들어가기 전 자연도에 묵었던 경원정이 새삼 주목을 받는다. 경원정은 고려 때 중국 사신이나 상인 [썰물밀물] 인천에서 시작된 한국 자동차 역사 자동차를 생활 필수품으로 여기는 미국에선 짧은 거리에도 차를 끌고 가야 한다. 대부분 도시에 대중교통이 발달하지 않아서다. 나이 지긋한 이들이 차를 운전하면서 쩔쩔 매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 나라다. '문명국가'라고 부르기엔 뭔가 찝찝한 기분이 난다. 그런가 하면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배출 가스가 엄청나 기후변화 주범으로 찍히기도 한다. 요즘은 제조업체마다 환경오염을 줄이려고 가솔린·경유차 대신 수소·전기차 등의 개발에 힘을 쏟는다.기름 한방울 나지 않는 국내에서도 이젠 자동차 없이 생활하기 어려운 시대를 맞았다. [썰물밀물] '빛의 도시' 인천을 새롭게 어둠은 빛을 이기지 못한다. 밝아오는 아침은 우리에게 희망을 얘기한다. “닭 목아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오고야 만다”는 말이 있듯, 찬란하게 비출 여명은 어둠을 뚫고 나오는 미래다. 빛은 어두운 곳을 밝히므로 광명(光明)을 상징하기도 한다. 칠흑 같은 암울함에서 벗어나게 하는 빛은 홀로 처연하기까지 하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를 드리우지만, 어둠은 곧 사그러들기 마련이다.요즘엔 인위적으로 전기를 얻어 어두운 밤에도 빛을 밝힌다. 그 덕분에 우리는 밤에도 자유롭게 나다니면서 갖가지 활동을 벌인다. 그렇게 된 데엔 불과 한세기도 걸리지 않 [썰물밀물] 하와이 교민들의 '인천 사랑' 인천은 세계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관문도시다. 인천국제공항은 오늘도 세계 곳곳의 인종을 싣고 내리면서 명실공히 우리나라의 '얼굴'로 자리잡았다. 인천은 그만큼 다양한 민족과 교포 등을 수용하면서 더 큰 도시로 나아가려고 힘을 쏟고 있다. 그런 생각과 의지를 품은 지는 아주 오래됐다. 이젠 제물포에서 출발(1902년 12월22일)한 한인 최초 이민단의 후손을 비롯해 각국에서 오가는 이들을 포용하는 곳으로 성장을 거듭한다.인천시는 인천을 통해 세계로 퍼져나간 교민들을 하나로 잇는 '재외동포청 유치'를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