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영 경제부장.
▲이주영 경제부장.

낯섦은 달갑지 않다. 권태롭지만 반복되는 일상에 안도감을 느낀다. 눈치챌 수 없이 조금씩 바뀌는 세상이 편하다.

지난 8월 소녀시대가 신곡을 냈다. <포에버 원(FOREVER 1)>이란 제목의 이 곡은, 동시대를 걷는 우리 세대에게는 반가움을 넘어 아련함마저 안겼다. 힘겹게 버티고, 악착같이 견뎌낸 셀 수 없는 일상이 이제는 옛날 영화를 보듯 가볍다. 데뷔 15주년, 해체 위기를 겪으며 팀원 각자가 다른 길을 걷더라도 그들이 펼치는 군무와 한목소리로 외치는 “포에버원”은 아직은 '익숙함' 속에 살아가도 된다는 응원 메시지 같다. 솔직히 소녀시대의 따뜻한 춤사위가 걸크러쉬 블랙핑크(내 생각이다) 보다 반갑다.

부는 낯설다. 부가 곧 '겸손'인 세상이지만 말이다. 넉넉한 마음가짐은 우러르지만, 주머니가 빵빵한 것에는 아직 괘념치 않는다. 다만 부의 여유와 기회의 풍족함은 부럽다. 지금껏 채워져 넘쳤을 때보다는 부족해 아슬아슬한 경제사정 때문인지 부족함은 익숙하지만, 부는 낯설다.

경제난이 예고됐다. 1997년 말 아이엠에프 사태와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처럼 갑작스럽지 않다. 2년 전 코로나19를 겪을 때부터 경제난은 꿈틀거렸다. 그리고 코로나19가 잠잠해지자 경제난이 그 틈을 무섭게 파고들었다. 내년 경제를 낙관하는 소식은 거의 없다. 이미 나라 안 서민 삶은 심각하다. 경제가 어려워지면 소비가 안 된다. 곧 생산에 차질을 빚게 되고, 자연스레 해고가 뒤따를 테다. 그렇게 소비와 생산이 느슨해져 고용까지 불안해지면, 경제는 더욱 수렁에 빠진다.

며칠 전 소식에 가슴이 철렁했다. 종이류 소비가 안 되자 제지업체에서 폐지 납품에 소극적이라는 것이다. 폐지단가는 자꾸만 고꾸라진다. 그래도 할 노동이 폐지줍기 밖에 없기에 하루 8시간의 폐지 수집은 10시간, 12시간, 14시간으로 늘어난다. 그마저도 폐지수거가 된다는 전제에서다. 이마저도 안된다면 폐지줍는 노동은 무의미해지고, 그에 따른 노동 가치는 무에 가깝다. 폐지줍기는 지극히 '없는 자'의 몫이기에, 경제난은 그들을 낭떠러지로 몰아넣는다. 곧이어 고철수거의 어려움을 담아낸 사연도 소개될 터다.

폐지와 똑같이 소비가 안 돼 철강업체가 고철 수거를 나서지 않는다면 이를 통해 돈을 벌던 누군가의 사정은 처참해진다. 뒤이어 밥값 아끼고자 구내식당으로 대거 몰리게 된 사연들도 언급될 것이다.

밀크플레이션(우유값인상)은 시작됐다. 우유는 식생활에 큰 몫을 차지한다. 단순히 우유로 마셔도 되지만, 유가공 제품은 상당하다. 커피부터 각종 음료수와 아이스크림, 가뜩이나 세계에서 가장 비싼 우리나라 빵값도 가격 인상 기회를 맞게 됐다.

늘 경제는 가진 자의 몫이었다. 예전에는 사다리를 타고, 부의 바늘구멍을 뚫게 될 1%의 가능성이 엿보였다. 요즘은 가상화폐든,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뭐든 악착같이 요량을 부리지 않으면 어렵다. 며칠 전 고꾸라진 미국 가상화폐 소식은 우리네 가상화폐에까지 가슴 불안케 했다. 부동산은 거래절벽을 맞았고, 전세는 천정부지 금리에 꿈도 못 꾼다. 월세가 보편화 됐기에 빠듯한 월급에 돈 모으기는 더욱 어렵게 됐다. '대체 금리 인상으로 이자 수익을 거두는 현금 부자는 얼마나 될까'.

서민은 아등바등해도 경제난을 헤쳐가기 버겁다. 특히나 경제난은 낮은 데로 임한다. 곧 겨울이기에 낮은 데는 춥고도 춥고, 배고프고도 배고프다. 부자는 망해도 삼 년은 간다지만 없는 자가 망하면 죽음으로 내몰린다. 3년이면 경제는 바닥을 치고, 다시 고공 행진한다. 이청준의 작 <낮은 데로 임하소서>와 이를 영화화한 이장호 감독의 훌륭함에는 죄스럽지만, 이 말은 하고 싶다.

경제신이시여. 부디 이번 경제난은 낮은 데가 아닌 높은 데로 임하소서.

/이주영 경제부장



관련기사
[제물포럼] 똑바로 보라 답답하다.몇 달 전 같은 지면으로 '친일'을 내다봤다. 고 리영희 교수가 1980년대 30년 뒤 후손에게 “일본에 대한 환상을 품지 말라”, “가장 위험스러운 나라가 일본”이라는 한 경고를 소개했다. 요즘 그의 말은 정치꾼에게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하다. '일본'의 중요성을 연신 강조하며 국민 반감을 산 '누구'의 굽신굽신에 아랑곳하지 않고 한국에 대한 일본의 비아냥은 도를 넘었다. 광복절 '함께 힘을 합쳐야 하는 이웃'으로 치켜세웠지만 보란 듯 야스쿠니 신사를 찾았다. 누구의 [제물포럼] 마기꾼은 되지 말자 자기 전 아들과 세 글자 끝말잇기를 했다. '파발마'로 공격했더니, '마기꾼'으로 응수한다.'마기꾼'. 생소한 이 말에 “별로 안 좋은 비속어 같다. 가급적 쓰지 않는 게 좋겠다”고 훈수를 뒀지만, “세상이 다 쓴다. 비속어가 아니다”라며 핀잔을 들었다. '마기꾼'은 마스크와 사기꾼의 합성어다. 상반된 '마해자'(마스크 피해자)도 있다.2020년 1월부터 마스크는 일상이 됐다.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 전지구적으로 사용 중이다. 바깥에서는 선택적으로 사용토록 [제물포럼] 존재는 곧 평가다 “6411번 버스라고 있습니다. 새벽 3시에 일어나 새벽 5시30분까지 강남 빌딩으로 출근해야 합니다. 태어날 때 이름은 있었지만, 그냥 아주머니입니다. 청소하는 미화원일 뿐이다. 한 달 85만원 받는 이분들이야말로 투명인간입니다. 존재하되 그 존재를 우리가 느끼지 못하고 함께 살아가는 분들입니다.”잠들기 전 낙이 있다. 유튜브를 통해 구수한 전라도 사투리로 한나절 논일, 밭일, 소 키우기를 마친 3형제가 동네 곳곳에서 하는 20분 남짓 먹방을 넋 놓고 바라보는 거다. 그날 밤 잠자리에도 어김없이 휴대폰으로 유튜브를 구동했다. 가장 [제물포럼] 기자(記者)란 무엇인가 언론에 종사하는 사람이면 술자리에서 흔하게 '기자(記者)란 무엇인가'라는 놓고 열띤 토론을 하게 된다. 신임 기자가 들어오면 선후배 술자리에서 인사치레처럼 벌어지는 토론의 주제이기도 하다. 사전적 의미를 몰라서 묻거나 받는 질문도 아니다.고리타분한 주제지만 혼란스럽거나 외압에 의해 의기(意氣)가 꺾일 때 기자들이 신세 한탄처럼 던지는 주제다. 지금 생각하면 쓴 소주 한잔 하는데 이만한 안주도 없는 셈이다. 기자(記者)는 무엇인가라고 묻는다면 나는 말 그대로 '기록하는 놈'이라고 말한다. 사실을 기록해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