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1920년 6월 수원의 항일 비밀결사 단체인 구국민단이 조직되었을 때 차인재는 교제부장을 맡았다. 차인재는 당시 삼일학교 교사로서, 삼일학교 출신들이 구국민단에서 활동하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차인재 자신도 삼일학교 1회 졸업생으로서, 이화학당을 나와 모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었다. 구국민단이 왜경에 발각된 후 차인재는 매우 파격적인 선택을 한다. 사진 신부로 미국행을 택한 것이다.

미주 지역의 한인 노동자와 본국 여성 사이의 사진혼인은 1910년 말쯤 시작되었다. 호남 출신 여성이 하와이 이민자와 사진으로 부부의 연을 맺은 것이 처음이다. 이후 1924년까지 하와이로 간 사진 신부가 951명, 미 본토로 간 경우가 115명이었다. “하와이에는 주로 영남 여성이, 미 본토에는 북한 여성의 이민이 많았다고 한다. 사진혼인은 외롭고 방황하던 동포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적지 않은 기여하였다.” (박환, <근대민족운동의 재발견>, 선인, 2022년)

사진만 보고 태평양을 건너간다는 건 인생을 건 모험이다. 차인재가 사진 신부가 된 경위를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도박과도 같은 선택을 할 수밖에 없을 만큼 그의 처지가 절박하지 않았을까 추정할 따름이다. 사진혼인 한 부부는 남자가 나이를 속이는 일이 비일비재여서 부작용도 컸다. 이역만리까지 갈 결심을 한 신부들은 신랑보다 대체로 학력수준이 높았다. 차인재는 고향(수원 북수동)에서 멀지않은 곳 출신(영흥도)인 임치호를 만나 1920년 8월 나성(로스엔젤리스)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남편 임치호는 상업에 종사하면서 대한인국민회 나성지방회장을 역임한 독립지사였다. 항일 전력 때문에 미국행을 택한 차인재로서는 퍽 다행스러운 일이었을 것이다. 미국식으로 남편의 성을 따라 임인재가 된 그는 대한여자애국단에서 교육활동과 독립 군자금 모금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1930년대에는 대한인국민회 나성지방회, 1940년대에는 대미한족연합회에서 활동하였다. 젊어 품은 뜻을 어떻게 하든 실천하려 한 인생역정이 존경스럽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 차인재(車仁載·1895~1971년)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수원 구국민단에서 활동한 차인재가 미주에서 활동한 임인재와 동일 인물이라는 사실은 수원대학교 사학과 박환 교수에 의해 사료를 통해 뒤늦게 밝혀졌다. 지난 6일 출판기념회를 한 박 교수의 저서 <근대민족운동의 재발견>에는 차 선생의 행적 말고도 현장조사와 구술 등을 통해 발굴해낸 흥미로운 사례들이 여럿 나온다.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11월 1일 방금 김윤아의 노래 <키리에>를 틀었습니다. “쉴 새 없이 가슴을 내리치는 이 고통은 어째서 나를 죽일 수 없나/ 가슴 안에 가득 찬 너의 기억이, 흔적이/ 나를 태우네, 나를 불태우네// 울어도 울어도 니가 돌아올 수 없다면/ 이건 꿈이야, 이건 꿈이야, 꿈이야/ 불러도 불러도 너는 돌아올 수가 없네/ 나는 지옥에, 나는 지옥에 있나 봐…….” 타인의 고통에 음악으로 공감하려 한다는 가수의 진심이 가슴을 울립니다. 키리에 엘레이손,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서양에서 11월은 만성절로 시작한다지요. 매해 11월 1일은 모든 성인 [썰물밀물] 여주 점동 되래 마을과 강천섬 여주시 점동면과 강천면은 경기도의 동쪽 도계를 이룬다. 점동면에서 남쪽으로 가면 충청북도 충주이고, 강천 동쪽으로 향하면 강원도 원주 땅으로 넘어간다. 남한강은 점동면 삼합리에서 섬강과 청미천을 받아들인다. 말 그대로 삼합(三合)이다. 점동면 흔암리 선사시대 유적지는 현재로부터(Before Present) 약 3200년 전 청동기 사람들의 터전이었다. 그곳에서 1970년 불에 탄 볍씨(탄화미)와 무문토기 조각들이 발견되어 한국 선사시대 연구에 획기적인 도움을 주었다. 점동면 남한강변은 아득한 옛날부터 풍요로운 고장이었다.흔암리 옆이 [썰물밀물] 경기도 저수지 팝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업용수원 기능이 사라진 저수지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 공사 소유 토지 2조8000억 원어치 가운데 상당수가 저수지와 양수장 관련 땅이다. 정부가 효율성 떨어지는 국유재산(16조원) 매각 방침을 발표된 이래 공사의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과연 저수지들을 팔 것인가?예전에는 저수지로 불렸으나 지금은 호수로 개명한 곳이 많다. 백운저수지가 백운호수가 되었고, 원천저수지가 광교호수공원으로 바뀌었다. 물왕저수지는 물왕호수, 왕송저수지는 왕송호수, 청계저수지는 과천대공원호수로 호명된다. 저수지라 하면 왠지 새마을스럽고, 호수 [썰물밀물]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잘 살아 보세!”라는 구호는 강력하다. 새마을운동을 집약한 슬로건이기도 하다.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는 전우익 선생이 1993년 펴낸 에세이집 제목이다. (TV 프로그램에 소개되면서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던 기억이 새롭다.) 하여튼, 위에서 아래로 조직적으로 시행된 새마을운동과 달리, 아래에서 아래로 이어진 “함께 잘 살자!” 실험의 뿌리는 깊다. 1930년대 '브나로드(농민 속으로)'에서 1950년대 4H운동까지 다종다양한 갈래가 이 꿈을 좇았다. 수원과 화성 일대는 그 중심지 가운데 한 곳이었다.19 [썰물밀물] 나무를 심은 사람, 나무를 심은 도시 <나무를 심은 사람>의 주인공 양치기 노인은 말없이 매일 매일 도토리를 땅에 묻어 나간다. 이야기 속 시간이 30년 정도 흘렀을 때 남부 프랑스의 황무지는 울창한 숲으로 변해 있었다. 양치기가 묻은 도토리들이 아름드리 상수리나무로 자라나고, 숲이 되살아나면서, 새와 물고기 그리고 동물들까지 돌아오는 기적이 일어난 것이다. 인심이 사나워질대로 사나워져 아예 사라져 버렸던 마을에도 아이들 웃음소리가 되돌아왔다. 프랑스 작가 장 지오노의 1953년 작 <나무를 심은 사람>은 언제 읽어도 흐뭇하다.평택시가 지난 3년 간 도시숲 가꾸기에 꽤 [썰물밀물] 안산원곡초에 보내는 갈채 안산원곡초등학교는 전교생의 98%가 이주배경 어린이다. 부모나 자신이 이주한 경험이 있을 경우 이주배경 어린이로 분류된다. 전국에서 가장 비율이 높다. 이 학교 수학수업 시간에는 선생님이 두 분 들어온다. 한국어 선생님과 러시아어 혹은 중국어 선생님. 소통과 이해를 돕기 위해서다. 또한 학생들 수준 차가 커서 수준별 수업도 진행한다. 안산원곡초등학교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올해 새롭고 효과적인 교수학습모델(수업모형)을 직접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다문화 초등교육의 선두주자답다. 박수갈채를 보낸다.원곡동이 &# [썰물밀물] '안농'에서 한경국립대로 1939년 4월 5년제 안성공립농업학교가 개교했다. 일제강점기 내내 전국 곳곳에서 중등교육 기관 설립을 열망했지만, 조선총독부는 학교 인가에 매우 인색했다. 조선인들은 최소한의 교육만 필요하다는 입장이었기 때문이다. 1930년대 후반까지도 농업학교 설립이 가능했던 지역은 많지 않았다. 안성에서는 지역민들의 열망이 워낙 컸고, 독지가 박필병(朴弼秉·1884~1949)이 거액의 설립자금을 댔기에 설립이 가능했다.박필병은 소유 토지가 1억3000만평이나 되는 안성의 거부였다. 학교설립 후 교정에 그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졌으나, 얼마 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