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31개 지자체 중 23곳 고령화
홀로 살던 노인 숨지며 '빈집 쑥'

안성시 작년 198곳 '3년새 4배'
철거비용 5년간 5억 이상 지원
가평 26곳 정비에 8000만원 써
래 가뭄 속에 고가 아파트가 몰린 서울 강남구와 용산구 아파트값도 하락 전환되는 등 서울 아파트 가격이 4주 연속 약세를 기록했다. 전세 시장도 계절적 비수기가 겹치면서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약 2년 6개월 만에 약세로 돌아섰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0.02% 떨어지며 지난주(-0.01%)보다 낙폭이 커졌다. 이번주 서울 25개 구 가운데 중랑구(0.01%)를 제외한 24개 구의 아파트값이 하락 내지 보합을 기록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부동산 중개업소. /사진=연합뉴스
▲ 부동산 관련 사진(위 사진은 아래의 본문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인천일보DB

경기지역 도심에서 높은 집값 탓에 '내집' 마련이 힘든 반면 농촌지역에서는 1년 이상 사람이 살지 않은 빈집이 넘쳐나고 있다. 한해 철거비용만 수억원에 달한다.

6일 인천일보 취재결과를 종합하면 안성시, 가평군 등 농촌지역에 빈집이 늘어나는 추세다.

안성시의 경우 2018년 50곳, 2019년 85곳으로 대폭 증가했다. 2020년 40곳으로 다소 줄었으나, 2021년은 2018년보다 3배 이상 늘어난 198곳으로 조사됐다.

올해도 10월 7일부터 지역 주민과 함께 빈집 실태를 조사할 방침인데, 작년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빈집을 없애는 데 쓰는 돈만 매년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에 달한다. 안성시는 1곳당 200만원의 철거비를 지원해주고 있다. 5년 동안 모두 297곳을 정비했는데, 최대 5억원 이상 예산을 사용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가평군도 지난해까지 조사한 결과 120곳에서 사람이 살지 않았다. 올해도 조사 중이다. 지난해 26가구를 정비하는 데에만 8000여만원을 썼다. 2020년에는 10가구를 없애는데 2000만원이 들었다.

지난해 기준 도내 빈집은 모두 5132곳이 있다. 이곳에 대한 정비사업(도비 30% 지원)을 하고 있는데, 지난해에만 도 전체에 12억원을 썼다. 올해는 13억원이다. 이같은 사업은 도심 지역만 진행됐는데, 각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추진한 농촌 정비까지 합하면 예산만 수십억원 이상 썼다.

상황이 이렇자 일부 지역에서는 빈집을 활용하는 새로운 방안을 찾아 나섰다.

도내에서 노인 비율이 가장 많은 연천군은 지난해 빈집을 게스트하우스나 마을 공동이용시설로 꾸미는 조례안을 제정했다. 연천군은 빈집을 이용해 마을 경제 활성화를 한다는 계획이다.

지자체는 농촌 지역에 노인 인구가 늘면서 이런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도내 지자체 31개 중 8곳(수원·평택·안산·오산·과천·시흥·하남·화성)을 제외한 시·군이 고령사회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유엔은 만 65세 이상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화 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6곳은 이미 초고령화 사회가 됐다. 연천 28.1%, 가평 27.8%, 양평 27.1%, 여주 23.4%, 동두천 21.5%, 포천 21.3% 등이다.

안성시 관계자는 “서울 등 도심 지역에 청년들이 있고, 노인들이 홀로 살던 곳이 빈집이 된다”며 “고령화가 되면서 최근 들어 가파르게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