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지원법 서명…70조 지원 내용
시, 시스템반도체 등 최다 수출 품목
1000여 기업 포진·특화단지 추진도

전문가 “미래 불투명…위험도 증가”
“칩4 가입·中과 돌파구 모색” 제안도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반도체 지원법(CSA),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 등 미국이 자국 중심 공급망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국내 반도체 산업의 위기론이 대두하면서 반도체 기업이 밀집한 인천에도 불똥이 튀지 않을까 우려가 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자국 내 반도체 생산을 지원하고 중국 등 국가에 생산시설 신설·증설 투자 등을 제한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일명 '반도체 지원법'에 서명했다.

법안에는 구체적으로 반도체산업에 한화 약 70조원(520억 달러)을 지원하고, 미국에 반도체공장을 짓는 기업에 25%의 세액공제를 제공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반도체 지원법을 비롯해 수출 규제 강화, 미국 주도 반도체 동맹인 '칩4(chip4)' 등 미국이 연이어 중국 견제와 자국 생산을 강화하는 등 반도체 패권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국내 반도체산업 역시 기로에 섰다는 것이 업계 및 전문가의 분석이다. 글로벌 공급망 변화와 관련해 한국 자체 공급망 안정화 필요성도 제기된다.

지난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연구보고서를 통해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직면한 우리는 단기적으로는 미국 주도의 공급망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우리의 자체 공급망 안정화에도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며 “특정 국가에 편중된 공급망을 분산시키기 위해 현재의 공급망 재편을 기획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반도체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육성 중인 인천 또한 지역 산업에 타격을 입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진다.

인천은 시스템반도체를 필두로 반도체가 지역 내 최대 수출품목인 데다 1000여개가 넘는 크고 작은 반도체 관련 기업이 포진해 있어 산업의 메카로 꼽힌다. 시는 또한 후공정 산업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을 추진하는 등 산업 육성에도 나서는 상황이다.

홍기용 인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인천 내 기업들은 긴장할 수밖에 없다“면서 “반도체뿐만 아니라 (미국이 자국 내 생산 전략을 추진하는) 바이오, 배터리 등 첨단분야 기업이 인천에 포진해 있는데 이들 모두 종전보다 미래가 불투명해지면서 기업 리스크도 이전보다 증가하고 기업 가치 등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현재 한국은 반도체산업 원천기술을 보유한 미국을 떠날 수가 없는 만큼, 칩4에 가입한 상태에서 중국과의 관계에서도 최대한 돌파구를 찾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혜리 기자 hy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