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20일 '주한 외국대사관 간담회'를 열었다. 남북관계가 악화일로인 상황에서 국제 협력을 통해 평화의 길을 모색해보자는 취지다. '한·미·일 대 북·중·러'라는 '신 냉전' 기류가 고착화하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 어렵다 하더라도 평화 지향의 흐름을 이어가는 일은 중요하다. 경기도는 2009년부터 (사)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과 함께 '대북협력 국제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정세일수록 국내의 지지와 관심을 끌어내 유지하고, 국제적 평화 연대를 다져야 한다는 점에서 경기도의 행보는 의미가 깊다.

중앙정부가 독점하던 통일과 남북관계 정책은 21세기 들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협력과 역할분담 방식으로 구도가 바뀌었다. 경기도가 2000년부터 추진한 남북교류협력 사업들이 큰 성과를 내면서 한반도 평화 정착에 지방정부의 역할이 크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그 연장선상에서 지방자치단체도 남북교류협력 사업의 주체가 되도록 관련 법률 개정까지 이루어졌다. 분단의 현장 경기북부의 도약을 위해 경기도는 그 어느 지방정부보다 앞장서서 평화정착의 길을 열어 나가야 한다.

긴장과 갈등이 깊어지는 요즘과 같은 정세에서는 경기도가 한발 먼저 물꼬를 터야 한다. 윤석열 정부는 북한의 비핵화 단계에 상응하는 보상을 담은 이른바 '담대한 계획'을 남북관계 기조로 제시했다. 그러나 현 정부의 '담대한 계획'은 북을 대화의 테이블에 나오게 할 방안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결정적 약점을 안고 있다. 이런 때 경기도가 그야말로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담대한 교류협력과 평화의 구상을 밝히고 실천에 옮겨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크다. 경기도의 성공이 한반도의 미래를 이끌 수 있다.

물론 쉽지 않은 과업이다. 자신들이 '핵심 고리'라 여기는 목표에 집중하는 북의 특성 상 향후 어떻게 나올지 예상하기도 힘들다. 하지만 북 역시 평화를 바라고 있고, 실현가능한 교류협력의 유용성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제안과 대화 시도가 필요하다. 그 과정 자체가 평화의 길이고, 그 길 위에 돌파구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