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이끄는 예술 꽃피다

인천 송도 아트포레 상가
코로나19로 공실 수두룩

9개 팀 예술인 공간 대여
창작 작업으로 활기 회복
▲ 위-(시계방향으로)유타대 학생들의 '텍스쳐스 오브 타임' 전시. '아파트 산수' 프로젝트에 참여 중인 관람객. '컬러팝' 프로젝트. 송도미미아트의 미래에서 ON작은미술관. 네거티브 랜드스케이프 작품.아래-송도 아트포레 상가 전경. /사진제공=연수문화재단

오스트리아 빈의 슈테판 성당이나 쾰른 대성당을 보는 듯 유럽풍으로 지어진 인천 송도국제도시 아트포레 상가가 들어선 건 2019년이었다. 공동주택 판매시설이면서 서해를 조망할 수 있고 시원하게 뻗은 보행로나 수변, 정원도 있어 사람들이 몰릴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3년이 지나고 있는 지금 코로나19로 얼어붙은 경기나 여러 상황 때문에 주인을 찾지 못해 비어있는 상가가 꽤 많다. 준공 후 한 번도 시설이 들어선 적 없이 노는 공간도 있다. 몇 년째 써 붙인 '임대문의'라는 안내는 황량했고 전체 건물 분위기를 침체시키는 악순환이 계속됐다.

이 송도 아트포레가 지금은 반짝거리는 활기를 띠고 있다. 연수문화재단이 '공실공실' 프로젝트를 기획해 낸 것이다. 9개의 공실을 각기 다른 예술 소재 공간으로 탈바꿈시켜 건물 분위기 자체에 변화를 주고 사람들이 몰리게끔 하고 있다. 9팀의 예술인들 역시 실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시도를 마음껏 펼칠 기회였다. 연수문화재단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각 공실 상가주들을 일일이 만나 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어 인천에서 활동하는 작가 등 9팀을 공모해 창작 활동할 공간을 제공했다.

 

▲네거티브 랜드스케이프
▲네거티브 랜드스케이프

▲네거티브 랜드스케이프

아트포레 A동 106호에 거대한 온실과 사물들이 설치됐다. 홍유영 조소 작가는 도시 공간의 특정 장소와 음적 공간을 통해 보이지 않는 원칙들을 발견하고 확장해 보자는 의미에서 설치 작품을 선보였다.

 

▲ 컬러팝
▲ 컬러팝

▲컬러팝

색채를 매개로 예측을 뛰어넘고 미지의 영역을 탐험할 기회가 A-107호에서 펼쳐졌다.

백인교 디자인공예학 박사는 'COLOR.POP'이라는 프로젝트로 색깔의 변화를 통해 주민들에게 다가섰다. 알록달록 공간에 있는 것만으로도 발랄하고 유쾌한 기분이 든다.

 

▲ 미래에서 ON 작은 미술관
▲ 미래에서 ON 작은 미술관

▲미래에서 ON 작은 미술관

송도국제도시 미술 하는 사람들의 모임 '송도미미아트'도 송도아트포레 한켠에서 전시회를 열었다. 일상적인 미술관이라는 콘셉으로 쉽고 친근하게 예술을 접할 수 있는 작품들을 내 걸었다. 특히 이 공간은 시민들이 직접 체험하고 즐길 거리를 준비해 큰 인기를 끌었다.

 

▲환상-읽기

사람의 온기 하나 없이 먼지 날리던 공실에 커다란 책 한권이 놓여있다. 누군가 스스로 활자가 되어 읽는 책, 환상-읽기가 A동 118호에서 진행됐다. 박이슬 작가는 새로운 질서, 논리, 배치를 실험하는 가능성의 영역을 환상으로 정의하고 예술을 다른 방식으로 읽어나가는 실천과 묶어내고자 했다.

 

▲ 텍스쳐스 오브 타임

▲ 텍스쳐스 오브 타임

연수문화재단과 협력 관계인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 학생들도 이번 사업에 동참했다. 재학생들의 톡톡 튀는 감성과 그 세대의 성찰과 시대를 읽는 인식이 고스란히 예술작품으로 드러났다. 조유진·김재형 유타대 학생 작가의 작품과 인천 글로벌 캠퍼스 15명 학생 예술가 작품을 A동 121호에서 볼 수 있었다.

 

▲선(線) 선(禪) 프로젝트

인천대학교 대학원 학생들의 작품도 전시됐다. 획을 뜻하는 선과 무아의 경지에 도달하는 정신 집중의 수행 방법을 의미하는 선을 합한 선선 프로젝트다. 작가들은 끊임없이 선을 긋는 행위를 통해 자기 경험으로부터 비롯한 사람들의 삶에 관해 이야기했다. 그동안 무심코 지나쳤던 공실에 에너지가 발산하는 순간이었다.

 

▲심心·심審·한 방

아무것도 없던 곳에 땅을 다지고 도로를 내어 건물을 세우고 호수와 공원이 들어서며 건설된 송도국제도시. 그 안의 새로운 집과 건물, 마을로 이뤄진 공간들 속에서 쌓인 시간처럼 공실로부터 시작되는 이야기를 상상해본다. 이지연 작가는 A동 131호에서 마음을 비우고 살필 시간을 주며 다시 나를 상상하게끔 유도했다.

 

▲예술의 저장 展
▲예술의 저장 展

▲예술의 저장 展

1996년에 창립해 30년 가까이 명맥을 이어오는 연수구 예술인연합회는 명품 작품 전시회로 인기를 끌었다.

아트센터인천과 송도센트럴파크, 송도 아트포레를 주제로 한 작품에서부터 회화, 서예 등 각자의 시선으로 기록한 순간과 빛이 전시됐다.

 

▲ 아파트 산수.

▲아파트 산수

송도국제도시 역시 다양한 아파트의 집단으로 특징되기도 하다. 아파트 작명 패턴을 들여다보면 우리 시대가 원하는 삶의 모습을 읽을 수 있다. 이번 공실공실에 참여한 '문아트랩'은 아파트 이름과 브랜드를 가지고 대형 산수화를 만드는 작업을 주민들과 함께 진행했다. 과거 명승지나 풍경을 대신하는 아파트. 이제는 달라진 가치를 작품화해 산수를 재현했다.

/장지혜 기자 jjh@incheonilbo.com

/인천일보·인천문화재단 공동기획

 



관련기사
[예술공간의 발견] 6. 여기가 바로 '인천의 공연장' 대형 무대, 화려한 출연진도 좋지만 술 한잔 기울이며 가수의 생음악을 가까이 듣고 싶을 때가 있다.이런 공연을 즐길 수 있는 곳이 인천에는 대략 6곳 있다. 중구 신포동 버텀라인과 흐르는 물, 부평 락캠프와 연수구와 남동구에 있는 뮤즈, 공감 등이다.이 가운데 '흐르는 물'과 '락캠프'는 약 30년 인천의 소규모 라이브 공연 문화를 이끌어 왔다. [중구 '흐르는 물'] 지역 밴드 무대로 '일거양득'1989년 개업…LP판으로 빼곡포크·블루스 라이브 정기 공연인천 중구 신포동 2 [예술공간의 발견] 5. 인천 도자기의 명맥을 잇다 유려한 빛깔도 시선을 사로잡는 광택도 없다. 원래의 흙색을 그대로 띠며 본래의 기능에만 충실한 녹청자 이야기다.청자와 백자처럼 지방호족 등 부유한 계층이 사용하거나 장식용으로 활용됐던 도자기와 확실히 구분되는 녹청자는 과거 서민들을 위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녹청자에 대해 사료가 많지 않아 추정할 뿐이지만 신라 말∼고려 초(9~10세기) 귀족들에게 청자가 보급되는 과정에서 녹청 자기는 조선 시대 후기까지 서민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일반 백성들이 밥도 담고 반찬도 담아 먹던 실용적인 물건이라서 그런지 유약의 빛깔은 녹갈색과 [예술공간의 발견] 4. 코스모40 인천 서구 가좌동 가좌IC 옆으로 '코스모40'이라는 이름을 단 건물이 서 있다. 이 건물은 주위의 회색 공장단지와 잘 섞여 얼핏 공장인가 싶지만 내부는 그렇지 않다. 대규모 문화예술 공간이다. 이곳은 원래 서구 산업단지의 상징인 '코스모화학' 건물이었다. 40년간 인천의 제조업체로 가좌동에 자리 잡고 있던 코스모화학이 2016년 울산으로 이전을 결정하자 그중 일부 건물이 코스모40으로 거듭난 것이다. ▲코스모화학 40동이 코스모40으로가좌동 산업단지의 상징이던 코스모화학이 울산으로 공장을 이전키로 결정 [예술공간의 발견] 3. 문학시어터 인천의 스포츠 경기가 벌어지는 대규모 체육시설 문학경기장. 이 경기장 한쪽에 각종 공연을 볼 수 있는 소극장이 있다.10여 년 전인 2010년, 인천에 이렇다 할 공연장이 없을 때 인천시가 전격적으로 마련한 극장, 문학시어터다.연극 같은 무대 공연할 공간을 구축하고 시민들이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기획했다. 당시 국비와 시비 18억원을 들였다.지금의 SSG 랜더스 구장 지하 1층에 전체 면적 742㎡ 규모로 관람석 111석과 무대, 분장실, 대기실, 연습실 등을 갖추고 있다.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 공간으로 연극, 뮤지컬, 소규모 [예술공간의 발견] 2.보물같은 부평 작은도서관 2곳 인천 부평구에 고유의 특색을 가진 작은 도서관 두 곳이 있다. 신나는 여성주의 도서관 '랄라'와 출판 스튜디오 '쓰는 하루'다. 두 곳은 시민과 밀접하게 존재하며 문화예술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문화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공간 역할도 한다. 신나는 여성주의 도서관 랄라'새로운 세상' 꿈꾸는 공간어린이 도서관이 여성주의 도서관으로 변신페미니즘 관련 교육·모임 풍성…대출도 가능부평구 후정동로 60 주택가 골목 3층에 자그마한 도서관 간판이 보인다. '신나는 여성주의 도서관 랄라 [예술공간의 발견] 507 문화벙커 생활문화센터&헤라의 정원 인천은 개항과 동시에 세계 다양성을 갖춘 문화예술을 우리나라에 가장 먼저 도입한 도시다. 그 명성답게 지금도 문화 운동과 예술 활동이 생물처럼 움직이고 있다. 특히 전통의 고전과 실험적인 현대의 도전이 공존하는 문화예술 양상을 띠고 있다. 이런 활동의 중심에 예술 공간이 존재한다. 거점을 중심으로 예술가들이 모이고 창작하며 성장하는 것이다. 인천문화재단과 인천일보는 지역 곳곳에 숨어 잘 드러나진 않았으나 이미 중요한 기능을 하는 예술 공간을 발굴해 10회에 걸쳐 소개한다. '우범지역'이던 지하보도, 동아리들 연습실로 [예술공간의 발견] 8. 트라이보울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세계 어떤 독특한 형태의 건축물과도 견줄만한 장소가 있다. 세 개의 그릇이라는 뜻의 '트라이 보울'.원뿔형을 거꾸로 세워 놓은 이 건물은 넓고 평평한 바닥을 기초로 위로 세워지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상식을 완벽하게 뒤집었다.2010년 인천세계도시축전 기념관으로 지어진 뒤 10년이 넘은 이 트라이보울이 지금은 전시와 공연을 하는 예술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는 사실은 건축물의 외형만큼이나 참신하다.그저 특정 기념관으로 한시적으로 운영되다가 목적을 다 하면 철거될 것으로 예상했던 이 건물이 복합 문화예술 보 [예술공간의 발견] 10. 인천도호부관아 지금 우리는 행정사무와 민원업무를 보려고 시청이나 구청 같은 관공서에 간다.옛날 사람들은 어땠을까. 조선시대 지방행정조직은 1413년(태종 13년)에 전국을 8도(道)로 나누었고 도밑에는 대도호부(大都護府)·목(牧)·도호부(都護府)·군(郡)·현(縣) 등이 있었다.인천 미추홀구 승학산 자락에 자리한 인천도호부관아가 바로 조선 시대에 행정을 담당했던 관청이다. 인천에 도호부가 설치된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1424년 이전일 것으로 추측된다.인천도호부에는 왕권의 상징인 객사를 비롯해 부사의 집무처인 동헌, 내동헌 등 15~16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