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 Business for Nature.

작년 환경 및 생물다양성 분야에서 세간의 주목을 받은 문서 하나가 있다. 바로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이다. 2021년 7월 UN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은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첫번째 초안을 공개하며, 2020년에 이행기간이 종료된 아이치 목표(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and the Aichi Targets)를 갱신했다. 포스트-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로도 불리는 이 프레임워크는 2030년까지 달성할 21개 세부실천목표(Targets)와 10개 이정표(Milestones)로 구성되어 있다. 제시된 목표와 이정표를 달성함으로써 2050년까지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둔다.

눈에 띄는 것은 세부실천목표 15번이다. 세부실천목표 15번은 기업의 규모를 불문하고 생물다양성에 대한 의존도와 영향을 평가 및 보고하도록 한다. 또한 2030년까지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 절반 아래로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영향을 증가시킬 것을 요구한다. 기업의 생산활동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성으로의 대이행을 촉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처럼 생물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이 기업 운영의 주요 의제로 부상하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주로 금융부문 기업이 논의에 중점적으로 참여하여 생물다양성 및 환경 이니셔티브에 문을 두드리고 있다.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NFD, 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는 기업의 자연 관련 재무정보공개 기준을 수립하는 대표적인 협의체로 2021년 6월 출범하였다. 이 조직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연에 이로운 글로벌 자금흐름을 만들어내는 것인데, 7개 원칙(시장에서의 사용성 고려, 과학 기반의 접근, 자연 관련 위기 포괄, 목적 지향성, 통합성과 적응성 고려, 기후 관련 위기와의 통합성, 전지구 포용성) 아래에서 프레임워크를 수립 및 운영하고 있다. 현재 550여개의 글로벌 기업이 TNFD 포럼에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국내기업으로는 KB금융그룹, 포스코 화학·ENC·홀딩스, 신한금융그룹, 우리금융그룹이 이름을 올렸다. 지난 3개월간 150여 개 기관이 TNFD 포럼에 추가로 가입하면서, 자연보전에 대한 기업의 책임이 더욱 강조되는 추세이다.

UN 책임투자원칙(PRI,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역시 기업의 책임있는 투자를 촉구하는 대표적인 환경 관련 이니셔티브이다. PRI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투자관행에 통합하고 PRI의 책임투자원칙을 이행할 것을 약속한 글로벌 투자기업의 명단을 공개한다. 현재 우리나라 24곳 포함 전 세계 5111개 기관이 PRI 서명기관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기관의 종류는 자산소유자(전체의 14%), 자산운용사(76%), 서비스 제공기관(10%)으로 나뉜다. 이들이 관리하는 자산의 총합은 미화 121.3조 달러를 상회한다. 가히 글로벌 책임투자의 흐름을 이끌고 있는 세계적인 이니셔티브라고 표현할 수 있다.

올해 12월 제15차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 총회(CBD COP15,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에서 포스트-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최종안이 발표될 예정이다. 국내에서 이 문서가 얼마나 큰 주목을 받을 수 있을지 확실친 않다. 그러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결코 축소되지 않을 것임은 분명하다. 생물다양성이라는 거대한 파도가 코앞으로 다가오고 있다. 기업의 응답과 선제적인 행동이 기대되는 시점이다.

 


 

There was a document released last year called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GBF)”. In July 2021, the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published the first draft of the framework and renewed the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which was supposed to expire at the end of 2020. The GBF consists of 21 Targets and 10 Milestones to be achieved by 2030 to realize a 2050 Vision of “Living in harmony with nature”.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arget 15 which indicates all sizes of businesses’ involvement in biodiversity issues. In the draft, it is specified that all companies (public and private, large, medium, and small) assess and report on their dependencies and impacts on biodiversity, from local to global, and progressively reduce negative impacts, by at least half and increase positive impacts, reducing biodiversity-related risks to businesses and moving towards the full sustainability of extraction and production practices, sourcing and supply chains, and use and disposal. We can see that this is a huge transition to sustainability in all parts of activities in business.

As biodiversity and sustainability become cross-cutting agendas, global companies start to adopt and incorporate the value into their decision-making processes. The discussion has been primarily dominated by the financial sector so far, and financial institutions are actively showing their strong interest in this changing landscape.

Established in June 2021, TNFD(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is a global initiative that develops a disclosure framework and helps financial institutions report nature-related risks toward nature-positive outcomes. Its mission is to bring about a shift in global financial flows from nature-negative outcomes toward nature-positive outcomes under seven principles: market usability, science-based, nature-related risks, purpose-driven, integrated & adaptive, climate-nature nexus, and globally inclusive. For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KB Financial Group Inc., POSCO Chemical/ENC/Holdings, Shinhan, and Woori Financial Group are members of the TNFD Forum. Over 150 institutions newly joined the forum for the last three months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environment has been stressed.

UN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is another representative environment-related initiative that puts emphasis on the responsible investment of corporates. PRI provides possible ways of incorporating ESG issues into investment practice to their signatories. There are 5111 signatories on the list as of mid-August 2022 which comprise asset owners (14%), investment managers (76%), and service providers (10%). Assets under management of the signatories reached 121.3 trillion USD globally. It is safe to say that PRI is a leading initiative that drives responsible investment.

In December this year,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will be presented at the 15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COP15). Even though we should wait and see how much attention this can draw to Korean corporates, one thing that won’t be changed i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ible investment will never be highlighted less. Now it’s time to hear from the corporate. Are you ready to prepare for this big wave?

 

▲ 오희진 EAAFP 사무국 대외협력팀 선임연구원.
▲ 오희진 EAAFP 사무국 대외협력팀 선임연구원.

/오희진 EAAFP 사무국 대외협력팀 선임연구원



관련기사
[새들처럼 자연처럼] 플라스틱 오염의 부메랑 효과 해양쓰레기와 해양 플라스틱 문제가 현안으로 떠올랐다. 올해 초,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송재호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갑)은 해양수산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의 해양쓰레기 수거 현황을 공개했다. 눈에 띄는 대목은 2021년 인천시의 급증한 해양쓰레기 수거 증가율이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인천에서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5200t으로 2019년, 2020년의 수거량과 비교해 약 3129%와 8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해양쓰레기는 비단 국내의 문제만은 아니다. 2015년 유엔 지속가능개발 정상회담에서는 17 [새들처럼 자연처럼] 람사르 COP14에서 널리 퍼진 청년의 목소리 람사르 협약은 습지 보전과 습지의 현명한 이용에 초점을 맞춘 가장 오래된 다자간 환경 협약이라는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람사르협약 이행에 관련된 당사자는 협약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른 다자간 협정과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결의안을 논의한다. 이를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라고 하며 3년에 한 번씩 모임을 가진다. 제14차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Ramsar COP14)는 2022년 11월 5일부터 13일에 걸쳐 중국 우한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되었으며, 올해의 주제는 “사람과 자연을 위한 습지행동”이었다.올해는 지속적인 습지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