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인천학연구원 독립운동사연구소, 포상 신청 설명회
'105인 사건'·'3·1운동' 관련 미발견 유공자 행적 대거 공개
▲ 민중 계몽 활동을 하다 징역 5년형을 살고 만기 출옥한 김학원 지사 투옥 모습. /사진제공=인천대 독립운동사연구소

1880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난 변인서씨는 20대 시절이던 일제 강점기 때 나라를 되찾아야겠다는 일념으로 무장 활동에 참여했다. 그러다 1911년 이른바 '105인 사건'으로 징역 7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러야 했다.

1년 뒤 지금의 서울고등법원 격인 경성복심법원은 변씨에게 무죄 판결을 내렸고, 그런 이유로 독립유공자 명단에서 그의 이름을 찾을 수 없었다. 변씨 사망일도 파악되지 않은 상태다.

105인 사건이란 1911년 일제가 민족 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1907년 초 테라우치 총독 암살 모의사건을 조작해 비밀 항일단체인 안창호 선생 등 애국지사 105명을 투옥한 사건이다.

이태룡 인천대 인천학연구원 독립운동사연구소장은 18일 인천일보와 인터뷰에서 “105인 사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총독 암살 모의사건 조작 혐의로 유죄 선고를 받은 인원이 105명이고, 이보다 많은 600여명이 변씨처럼 같은 혐의로 붙잡힌 사건”이라며 “실제로 600인 사건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알려지지 않았던 독립유공자 공적들이 많이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대 독립운동사연구소는 광복 77주년을 맞아 이날 인천대 송도캠퍼스 교수회관에서 제8차 독립운동가 포상 신청 설명회를 열었다.

연구소가 국가보훈처에 포상을 신청한 인원은 105인 사건으로 고초를 겪은 121명, 3·1 독립 만세 의거 유공자 237명 등 총 450명이다.

이 자리에선 변씨처럼 일본군과 맞서 싸웠지만 무죄 판결을 받았다는 등 이유로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던 독립유공자들 행적이 대거 공개됐다.

아울러 언론인 출신 김학원 지사에 대한 행적도 공개됐다. 신문기자였던 김 지사는 1926년 지식인으로서 일제 치하를 극복하기 위한 활동을 해야겠다는 책무로 잡지를 만들어 민중을 계몽하려고 했다.

이를 위해 기자들과 단체를 결성했지만 1929년 준비 과정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체포됐다. 그는 이듬해 징역 5년을 선고받았고, 1934년 서대문형무소에서 만기 출옥했다.

특히 의병장으로 활동하다 붙잡혀 징역 15년을 선고받은 충북 단양 출신 이병호 의병장, 3·1 독립 만세 시위로 징역 15년을 받은 평남 강서 출신 김선환 목사 등도 포상 신청 대상에 포함됐다.

/정회진 기자 hijung@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