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범죄, 지능·조직화…정부합동대책반 신설해야”

'국회 정책토론회'서 목소리
“현재 법, 실효적 대응 한계”
국민들 인식 변화 필요성도
▲ 지난달 14일 국회에서 열린 '보험사기 근절을 위한 보험사기방지특별법 개정 방향' 국회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윤관석 국회의원실

갈수록 지능화·조직화되는 보험사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선 보험범죄 정부합동대책반을 신설해야 하고, 이를 위해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황현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달 14일 국회에서 열린 '보험사기 근절을 위한 보험사기방지특별법 개정 방향' 국회 정책토론회에 발제자로 나서 “보험사기는 복합성과 다양성을 띠고 있는데 최근에는 지능화·조직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 보험사기방지특별법은 보험사기의 효과적 대응을 위해 제정됐으나 최소한의 사항만을 규율한 탓에 종합적·실효적 대응을 위한 근거 법령으로선 한계를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보험사기방지특별법은 2016년 제정·시행됐으나 이후에도 보험사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특별법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국회에는 더불어민주당 윤관석(인천 남동을) 국회의원이 올해 초 대표 발의한 보험사기방지특별법 개정안이 계류돼 있다.

이 개정안에는 날로 심각해지는 보험사기 문제에 적극 대처하기 위한 보험범죄 정부합동대책반을 구성·운영하는 내용 등이 담겨 있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유주선 강남대 공공인재학과 교수도 “보험사의 보험사기 적발 가능성과 처벌 수위를 높여 실효성 있는 예방 효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특별법 개정이 이뤄져야 한다”며 “보험사기 근절에 대한 다양한 계몽 활동으로 국민들 의식 변화가 있어야만 보험사기는 줄어들 것”이라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보험사기는 그 피해가 선량한 보험 가입자에게 보험료 인상으로 전가되는 명백한 범죄 행위인 만큼 보험금은 눈먼 돈이라는 그릇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보험범죄 정부합동대책반 신설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잇따랐다.

김인호 생명보험협회 상무는 이 자리에서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범정부 차원의 보험범죄 전담대책반을 상설화하는 것이 보험사기 대응에 효율적일 수 있다”며 “특히 최근 계곡 살인 사건처럼 자칫 묻힐 뻔한 사건도 수사당국 관심과 노력이 뒷받침된다면 신속한 사건 해결은 물론 보험사기에 대한 선제적 예방 효과도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종민 경찰청 경제범죄수사과장 역시 “보험사기는 다른 금융사기와 달리 교통과 의료뿐 아니라 일상생활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발생한다”며 “경찰청 주관 정부합동대책반이 구성된다면 수사팀과의 직접 연계를 통해 보험범죄에 대한 효율적 대응이 가능해지는 한편 수사 과정에서 확인되는 제도 개선 사항과 관련 정보는 다시 대책반으로 접수돼 유관기관으로 전파되는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토론회에선 보험사기를 예방하기 위한 관련 업계 노력도 주목받았다.

안성준 손해보험협회 부장은 “손해보험협회에서는 최근 자동차를 이용한 고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국 시·도의회, 지자체 등과 사고 다발 교차로 지역에 노면 색깔 유도선 설치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며 “내비게이션 업체와는 보험사기 사고 다발 지역 진입 전에 음성 안내 멘트가 사전에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토론회를 공동 주최한 윤관석 의원은 “여야 국회의원은 물론 여러 전문가분들께서 지혜를 모아주신 만큼 앞으로 입법 과정에서 고견들을 잘 반영해 나가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



관련기사
[보험사기 근절하자] (1) 보험사기 적발금액 1조원 진입 '눈앞' 고질적 사회 문제 중 하나인 보험사기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뚜렷한 대책은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생명을 거액의 보험금으로 맞바꾸기 위해 살인을 저지르는 잔혹 범죄가 잇따르면서 시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보험사기는 민영 보험뿐 아니라 국민건강보험의 재정 누수를 일으키며 모든 국민에게 피해를 주는 심각한 범죄로 분류된다. 그렇기 때문에 보험사기를 단순한 범죄로 치부해선 안 된다. 자신과 가족, 주변인이 가해자나 선량한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보험사기 예방에 동참할 필요가 있다. 인천일 [보험사기 근절하자] (2)보험금이 뭐길래…괴물이 된 사람들 30대 여성이 내연남과 함께 남편 사망보험금을 노리고 범행을 저지른 '계곡 살인' 사건이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는 가운데 보험사기의 범죄 수위가 갈수록 잔혹해지고 있어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12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달 3일 인천지법 324호 법정에서 이 법원 형사15부(부장판사 이규훈) 심리로 계곡 살인 사건의 첫 재판이 열렸다.일각에서는 피고인 이은해(31·여)씨와 조현수(30)씨가 살인 혐의를 부인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지만, 이들 변호인은 이날 법정에서 검찰 증거 기록을 보지 못했다며 혐의 인정 여부 [보험사기 근절하자] (3)보험료 인상…결국 피해는 '국민들 몫' 보험사기는 단순한 경제 범죄를 넘어서 일상생활의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 범죄로 떠오른 지 오래다.여기에 더해 보험사기로 인한 보험금 누수는 선량한 시민들에게 보험료 인상 등 경제적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이에 보험사기 대응 인프라를 정비하고 새로운 유형의 보험사기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26일 보험연구원과 서울대 산학협력단이 2020년 공개한 '공·사 보험 재정 누수 규모 산출 및 제도 개선 방안 연구'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민영 보험의 보험사기 규모는 6조1512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우체국· [보험사기 근절하자] (4)범정부기구 부재…범죄판 키운다 보험사기가 갈수록 조직적·지능적 범행으로 발전하면서 우리 일상에 깊숙이 파고들고 있지만 정작 이에 맞설 '범정부 컨트롤타워'가 부재해 금융·수사당국 감시망에 빈틈이 생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보험사기 근절에 수사력 집중하는 당국10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보험사기 적발액은 9434억원으로 전년 대비 5% 늘었고, 자동차보험(4198억원)과 장기보험(4319억원)에 집중돼 있었다.보험사기 적발 인원은 지난해 9만7629명에 달했으며, 이 중 사기액이 1000만원을 넘는 경우도 1만7452명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