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대응기금, 더 많은 예산 확보 의지
정주여건 개선·일자리 활성화 정책 급선무
교육·보건·의료·문화 등 분야도 주력 계획
▲ 문경복 인천 옹진군수./인천일보DB

“'옹진을 새롭게, 군민을 신나게'라는 슬로건처럼 사람이 모여드는 옹진군, 인구 3만명을 향해 나아가는 옹진군이 되도록 분골쇄신하겠습니다.”

문경복 인천 옹진군수는 7일 인천일보와 인터뷰에서 인구 소멸지역에 이름을 올린 쇠퇴해가는 옹진군을 살리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옹진군뿐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적으로 인구 감소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인구가 자연 감소되는 부분은 막지 못했지만, 정주 여건이 안 좋아서 인구가 이탈하는 부분은 자치단체장 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문 군수는 우선 지역 스스로 인구 감소 원인을 파악하고 특화 사업을 준비해야 하는 '지방소멸대응기금' 확보에 의지를 보였다. “지방소멸대응기금에 관한 보고는 인수위원회가 구성되자마자 받았습니다. 행정안전부와도 계속 소통해서 평균치보다 더 많이 예산을 확보하겠습니다.”

그는 지역 쇠퇴를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옹진군의 정주 여건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옹진군 일자리 활성화 정책 마련이 급선무라는 진단을 내렸다. 일거리를 만들면 사람이 모이고, 이를 통한 소득 창출과 지역 발전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게 문 군수의 설명이다.

“일자리가 생기고 소득이 창출돼 사람이 모여드는 옹진을 만들고 싶습니다. 큰 틀에서는 정부가 옹진을 수도권 규제 지역에서 제외시켜 발전 기회를 열어줄 필요가 있습니다.”

대통령 공약에도 해당 내용이 포함된 만큼 문 군수는 옹진군의 수도권 규제 지역 제외 필요성에 대한 논리를 수립해 정부와 소통하겠다고 했다.

“기업들이 수도권에 있다가 충청도, 경상도 등으로 이전하게 되면 혜택이 많습니다. 하지만 현재 옹진군은 수도권규제법 때문에 300명 이상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물론 전문대학도 입지하지 못합니다. 편히 쉴 수 있는 섬에 대기업 연수원 등이 들어온다면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 문경복 인천 옹진군수./인천일보DB
▲ 문경복 인천 옹진군수./인천일보DB

여객선 완전 공영제도 그가 임기 내 이루고 싶은 공약 중 하나다. 문 군수는 육지에선 전철이나 시내버스 운영 손실액 전액을 국비나 시비로 지원하는 것처럼 해상교통 역시 차별을 둬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여객선은 도서지역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여객선도 대중교통인데 이동 수단 간 차별을 두는 건 형평성에 맞지 않습니다. 여객선 완전 공영제가 실현되면 고가의 운임 부담으로 망설이던 관광객도 많이 찾을 것입니다. 그러면 소비 경제가 창출돼 일자리가 늘고 결국 사람이 모이게 될 것입니다.”

민선 8기에는 교육과 보건·의료, 문화 등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낮았던 분야에 관심을 기울이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옹진군은 교육경비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하는 지역입니다. 안전한 내 집 앞 교육환경 조성과 젊은 주부층의 사회적 활동을 위한 지원 확대, 보육 부담을 해소하겠습니다. 섬 지역 보건·의료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백령병원에 전문의를 배치하고 닥터헬기와 병원선을 잘 활용하겠습니다.”

끝으로 시계(가시거리) 제한 완화를 통한 결항 일수 최소화 등 어업인 생계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선박의 잦은 결항 등을 해결할 제도 개선과 기반시설 확충 등을 통해 어민들 생업을 지키겠습니다. 군민 모두에게 새롭고 신나는 옹진의 모습을 보여주겠습니다.”

/박해윤 기자 yun@incheonilbo.com

 

 

-1955년 옹진군 영흥 출생

-선인고·인하대학교 대학원 졸업

-(전)국립 인천대학교 사무처장

-(전)인천시 건설교통국장

 



관련기사
유 시장 “인천, 홍콩 기능 대체할 최적지” 유정복 인천시장은 7일 “인천은 위성도시나 관문도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중심, 세계의 중심도시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유 시장은 이날 인천경영포럼이 마련한 435회 조찬특강에서 “인천은 특·광역시 중 유일하게 인구가 늘어나는 도시로 창조형 도시”라며 이같이 말했다.유 시장은 창조형 도시 인천의 비전으로 ‘뉴홍콩시티’를 재차 강조했다.그는 “처음 뉴홍콩시티 얘기를 했을 때 ‘이건 또 뭔가?’ 하는 반응이 있었다. 지금은 이해하기 쉽게 ‘뉴홍콩시티’라는 이름을 붙였지만, 나중에는 필요가 없을 것”이라며 “중국에 반환된 지 25년이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