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공정 도입 경쟁력 심폐 소생

중기부 '탄소중립형 지능형 공장'
인천서 진솔인더스트리 유일 선정
FEMS·에너지 고효율 설비 도입
에너지 소비 절감 규모 10% 예측

중기 온실가스 배출량, 전체의 15%
탄소중립, 제조업 부정적 영향 우려
인천 기업 열 중 셋 규제 대상 가능성
실태조사 통한 지원 방안 마련 시급
▲ 스마트그린산단 조성 사업 일환으로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에 구축된 스마트에너지클러스터(SEC) 커뮤니티 센터. /사진제공=한국산업단지공단
▲ 스마트에너지플랫폼 구축 사업. /자료=한국산업단지공단

태양광 발전, 수소연료전지 등을 통해 생산된 전기는 '알이백(RE100, 재생에너지 100%)' 공장에 공급된다. 업체마다 보급된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은 전력량을 실시간 분석·제어한다. 공장의 에너지 사용 현황은 산업단지에 구축된 스마트에너지플랫폼을 통해 진단되고, 설비 가동률이 높아진다. 남동산단에 조성되고 있는 '스마트그린산단'의 미래상이다.

지난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스마트그린산단 신규 단지로 선정된 남동산단에선 '저탄소·녹색산단'을 목표로 2023년까지 그린뉴딜이 접목된 에너지 혁신 사업이 벌어지고 있다. 기업 자부담 없이 국비 70억원을 들여 지난해까지 50곳에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이 갖춰졌고, 올해에도 20곳에 추가로 시스템이 보급된다. 이들 업체의 에너지 사용량은 스마트에너지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관리된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인천남동스마트그린산단사업단 관계자는 “스마트에너지플랫폼은 탄소중립으로 가기 위한 에너지 효율화·자립화의 기반”이라며 “에너지 소비 분석을 통해 참여 기업의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그린산단은 정부가 2020년 7월 발표한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에 담겼다. 전통 제조업이 모여 있는 고탄소 배출 산단을 첨단·신산업이 육성되는 친환경 제조 공간으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화석연료 기반의 생산 공정을 가진 업종 비중이 큰 산단은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76.8%(2018년 기준)를 차지한다.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은 0.1%에 그친다.

1989년 준공된 남동산단은 7345개(지난해 4분기 기준) 업체가 입주해 있다. 인천 산업 생산과 일자리를 30% 넘게 떠맡고 있다. 기반시설 노후, 영세기업 중심 구조, 연구개발 역량 부족 등의 한계도 안고 있다. 스마트그린산단 조성으로 남동산단은 소재·부품·장비 기업과 바이오헬스 신산업 전진 기지로 재편되고, 에너지 효율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도 제시된 재생에너지 확대까진 갈 길이 멀다. 남동산단 실행전략에는 “에너지 자립도 제고”가 주요 과제로 담겼지만, 공장 지붕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이나 수소연료전지 발전 등은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태양광 발전 설비 투자비를 회수하려면 10년 정도가 걸려 재산권 제약을 우려하는 시선이 있다. 구조 안전성, 빛 반사 등의 문제도 제기돼 업체들을 설득하고 있다”며 “수소연료전지의 경우 협의체를 구성해 주민수용성을 높이는 단계”라고 말했다.

 

▲ '탄소중립형 지능형 공장' 사업으로 에너지 고효율 항온항습기가 들어선 가죽 보관실에서 진솔인더스트리 직원이 자재를 살펴보고 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 '탄소중립형 지능형 공장' 사업으로 에너지 고효율 항온항습기가 들어선 가죽 보관실에서 진솔인더스트리 직원이 자재를 살펴보고 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자동차 시트는 열로 압축시켜서 만듭니다. 열을 낸다는 건 생산 공장에서 에너지를 쓸 수밖에 없다는 것이죠. 탄소중립에는 비용 부담이 뒤따르지만, 10년 후면 불가피하게 다가올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경영 마인드가 있었습니다.”

㈜진솔인더스트리는 2005년 설립된 자동차 시트 전문 기업이다. 올 2월 청라 인천하이테크파크(IHP)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이전했다. 연매출 40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이다.

진솔인더스트리는 지난해 10월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탄소중립형 지능형 공장' 지원 업체 24개사에 선정됐다. 인천에선 유일하다. 전현준 진솔인터스트리 경영기획실 부장은 “기업은 10년을 내다보고 투자한다. 특히 자동차 업계에서 '알이백(RE100, 재생에너지 100%)' 선언이 잇따르고 있다”며 “고효율 설비 교체는 끝났고, 공정 스마트화는 설계 단계”라고 말했다.

 

중소기업 56% “탄소중립 준비 안 됐다”

▲ 중소벤처기업부 '탄소중립형 지능형 공장' 지원 사업에 선정된 인천 서구 진솔인더스트리 작업장. /이순민·이아진 기자 smlee@incheonilbo.com
▲ 중소벤처기업부 '탄소중립형 지능형 공장' 지원 사업에 선정된 인천 서구 진솔인더스트리 작업장. /이순민·이아진 기자 smlee@incheonilbo.com

진솔인더스트리 공정을 들여다보면 탄소중립 대응 필요성을 체감할 수 있다. 차량 시트를 생산하는 전 과정에서 열을 가하는 작업, 한마디로 고탄소 배출이 수반되는 까닭이다.

지난달 초 방문한 진솔인더스트리 '핫멜트' 작업장에선 설비 25대가 “딸깍” 소리를 내며 쉴 새 없이 움직이고 있었다. 핫멜트는 시트를 열로 접착하는 공정이다. 꽃샘추위 탓에 쌀쌀한 날씨였지만 작업장에 들어서자마자 열기가 끼쳐 왔다. 핫멜트뿐 아니라 시트 외관에 디자인을 입히는 37대의 '열성형기'도 명칭처럼 열을 가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소모된다.

'탄소중립형 지능형 공장' 사업으로 진솔인더스트리 생산 공정은 체질부터 바뀌고 있다. 중기부는 탄소중립형 공장 구축을 위해 에너지 진단·설계 컨설팅, 탄소 저감 공정 혁신, 고효율 설비를 지원한다. 계량기 1대로 월별 전기 사용량을 확인하던 진솔인더스트리는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을 통해 전력량의 실시간 분석·제어가 가능해졌다. 노후 컴프레셔 고효율 기기로 바뀌었고, 가죽 보관실에도 에너지 고효율 항온항습기가 들어섰다.

실시간 에너지 사용량을 관리하는 FEMS로 총 48대 설비의 에너지 절감 규모는 10%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전 부장은 “공장 옥상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해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높일 계획이다. 열을 가하지 않는 공정도 개발하고 있다”면서도 “지원 사업이 끝난 이후 탄소중립 차원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은 남아 있다. 업계 전체적으로 보면 탄소중립 투자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중소기업은 대응 인력도 부족한 형편”이라고 말했다.

진솔인더스트리의 고민은 탄소중립으로 가는 길에서 산업계 현장의 혼란을 대변한다. 특히 중소기업은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불안감을 안고 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지난해 발표한 '중기 탄소중립 대응 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중소기업의 81%는 탄소중립 대응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나, 절반이 넘는 56%는 준비 계획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중립 실현에는 중소기업 참여가 필수적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자료를 보면 산업 부문 가운데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31%를 차지한다. 국가 전체 배출량의 15% 수준이다. 중기부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중소벤처기업 탄소중립 대응 지원방안'을 통해 “고탄소 연료·원료 사용, 공정 특성, 낮은 에너지 효율 등 업종별로 탄소 배출 원인이 복합적”이라며 “기존 온실가스 통계로는 중소기업의 배출 현황 파악조차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도 정책과 현실의 괴리가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해 312개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에너지비용 부담 현황조사'에서 “에너지 절감 시설에 투자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0.5%에 그쳤다. 정부가 지원하는 에너지 효율 향상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로는 “정책을 몰랐거나 늦게 알아서”라는 응답이 53.7%에 달했다.

 

초기 단계인 혁신 공정…“도전적 과제”

▲ 국내 산업 부문 에너지수요(좌)·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우)./자료제공=인천연구원·인천일보
▲ 국내 산업 부문 에너지수요(좌)·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우)./자료제공=인천연구원·인천일보

산업 부문의 탄소중립에서 넘어야 할 벽은 크게 연료, 그리고 원료로 구분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 확대나 에너지 효율 향상이 연료 측면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방안에 해당된다.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76%를 차지하는 철강·석유화학·시멘트·정유 업종은 석유·석탄과 같은 원료나 공정을 통해 탄소를 배출한다.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 이상은 산업계가 차지한다. 전기나 열을 사용해 간접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포함하면 산업 부문 배출량은 2018년 3억9200만t(54.0%)에 달한다. 전기나 열을 생산하는 '전환'(37.0%) 부문을 별도로 계산해도 산업 부문 배출량은 2억6050만t으로, 35.8%를 차지한다.

대통령소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지난해 11월 공개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보면, 산업 부문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치는 현재보다 80.4% 감축한 5110만t이다. 이런 수치를 달성하려면 철강·화학 등의 산업에서 화석연료 비중이 대폭 줄어들어야 한다. 이들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혁신 공정은 기술 초기 단계다. 대체 원료 역시 실험실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지난해 발간한 '2050 탄소중립과 제조업이 나아갈 길' 보고서에서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고,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진 국내 여건을 고려하면 탄소중립은 도전적인 과제임은 분명하다. 획기적인 감축 수단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제조업의 탄소중립 전환은 산업 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우려된다”며 “산업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단계적 목표 설정, 혁신 기술 개발과 적용, 그린 인프라 구축, 규제 효율화 등 정교한 추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력 수출업계 저감 부담…“현황조사 우선”

▲ 6대 광역시 제조업 온실가스 배출량./자료제공=인천연구원·인천일보
▲ 인천시 군·구별 탄소규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산업의 사업체 분포./자료제공=인천연구원·인천일보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산업계 노력만으로 달성되기 어려운 과제다. 탄소중립 이행 과정에서 유망 산업과 피해 예상 산업도 공존한다. 인천연구원 자료를 보면, 인천 10인 이상 제조업체 가운데 탄소 규제 대상 가능성이 높은 사업체는 29.76%로 분류됐다. 철강·석유화학·자동차가 인천 주력 수출품이라는 점에서 탄소 저감에 대한 부담도 높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인천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4년 983만t에서 2019년 1038만t으로 증가 추세를 보인다. 에너지원별 사용량은 석유류가 69.7%(2019년 기준)로 가장 높다. 이는 전국 평균인 47.84%보다 웃돌고, 울산(76.28%)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인천 석유화학 업계 관계자는 “제품 생산, 공정 가동에 필요한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2030년 절반 수준으로 감축시킨 뒤 2050년 이전에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천 중소기업 환경경영 추진 애로사항./자료제공=인천연구원·인천일보

탄소중립 과정에서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중소제조기업 실태조사가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해 7월 인천연구원이 중소기업 1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환경경영 전략이 수립되지 않았다”는 응답률은 47.0%에 달했다. 환경경영 추진에서 애로사항으로는 “투자 및 운영 비용 부담”(26.2%)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책적 지원 부족”이라는 응답도 15.8%를 차지했다.

이정영 인천연구원 경제환경연구부 부연구위원은 “인천은 고탄소 배출 업종에 해당하는 제조업 비중이 높고, 중소기업이 지역경제에 중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자체의 능동적 대처가 요구된다”며 “사업체 실태조사를 통해 탄소중립 지원 방안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업 참여를 독려하는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순민·이아진 기자 smlee@incheonilbo.com


 

쏟아지는 환경 이슈 용어들, 공통점은 '탄소중립'

RE100-전력 100% 재생에너지 사용
ESG 경영-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
그린뉴딜-정부 주도 탈탄소 계획

▲ 지난 2월 3일에 이뤄진 '2022 대선후보 토론'에서 이재명 인천을 예비후보가 ‘RE100′이라는 다소 생소한 개념에 대한 입장을 물어 윤석열 대통령이 당황하는 모습이 연출됐다./인천일보DB
▲ 지난 2월 3일에 이뤄진 '2022 대선후보 토론'에서 이재명 인천을 예비후보가 ‘RE100′이라는 다소 생소한 개념에 대한 입장을 물어 윤석열 대통령이 당황하는 모습이 연출됐다./인천일보DB

지난 대선에서 입길에 오르내렸던 용어가 있다. '알이백(RE100)'. 전력 사용량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캠페인을 일컫는다. 2014년 시작됐고, 세계적 기업들은 비영리 민간단체인 탄소공개프로젝트(CDP) 위원회에 공식 등록해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 기업들은 인증서 거래나 전력 구매 계약, 자체 생산 등으로 RE100을 이행한다. 국내 기업도 RE100에 참여하는 해외 기업으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받는다. 기후위기 대응에서 주목받는 RE100은 정책 과제로도 반영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9월 “국내 기업들은 해외 고객사 요구 대응, 온실가스 감축 등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구매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을 요청했다”며 'RE100 이행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한국형 RE100'을 도입해 전기 소비자가 재생에너지를 선택 구매하는 길을 열었고, 사용 확인서도 발급한다.

RE100에 앞서 유행처럼 번지는 개념이 있다. '이에스지(ESG, 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자나 소비자가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를 가늠하는 잣대로 쓰이는 단어다. 대기업들은 앞다퉈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ESG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 구체적 실행 계획 없이 마케팅 도구로 활용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윤석열 정부는 110대 국정과제에 중소·중견기업 ESG 경영을 확산시키고, 한국형 ESG 가이드라인을 고도화한다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탄소중립 전환기를 맞아 정부가 발표한 '그린뉴딜'이라는 용어도 있다. 정부는 2020년 한국판 뉴딜 정책을 내놓으며 그린뉴딜을 핵심 방향으로 설정했다. 그린뉴딜 과제에는 공공시설 제로 에너지화, 재생에너지 확대, 전기차·수소차 보급, 저탄소 녹색산단 조성 등이 담겼다.

RE100과 ESG, 그린뉴딜 등의 공통분모는 친환경이다. 환경 이슈를 담아내는 용어의 홍수 속에서도 궁극적인 지향점은 탄소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고 흡수량을 높여 실질적 배출량을 '0'수준으로 만드는 '넷제로(Net zero)', 즉 탄소중립일 수밖에 없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관련기사
[1.5℃의 약속 탄소중립 안내서] 7. 온실가스 줄이는 지붕 위 발전소 기후위기 대응하려면 신재생에너지 늘려야지난해 12월 정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제출했다.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7억2760만t에서 2030년 4억3660만t으로 40% 줄인다는 약속이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온실가스 배출량을 가장 많이 줄여야 하는 에너지 전환 분야는 석탄발전 축소,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뼈대를 이룬다.석탄발전 비중은 2018년 41.9%에서 21.8%로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1.5℃의 약속, 탄소중립 안내서] 12. 정의로운 전환을 향해 '끝' 탄소중립 그린도시, 우리가 그리는 청사진직접 생산 에너지로 전기차 충전벽면 녹화·태양광 버스정류장공원·하천 녹지로 온실가스 흡수건물의 모든 공간을 활용해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하고, 실시간 제어와 열 차단 창문으로 에너지를 절감한다.공공기관과 그린주차장에선 직접 생산한 에너지로 전기차를 충전한다. 벽면 녹화와 소규모 태양광 발전으로 탈바꿈하는 버스 정류장은 기후변화 적응 공간이자 대중교통 이용을 늘리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한다. 공원과 하천에는 탄소중립 녹지로 온실가스 흡수원을 확대한다.'탄소중립 그린도시'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