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미래, 대선으로 이음 공약 20선] 7. 경인선 지하화

도시 경쟁력·삶의 질 향상 필요
단절된 도시구간-동암역. /사진제공=인천시
단절된 도시구간-동암역. /사진제공=인천시

경인선 122년.

쓰러지는 대한제국의 고혈을 쥐어짜듯 우여곡절 끝에 인천과 서울을 잇는 경인선이 놓였다. 미국에서 일제로 철도 부설권이 넘어가는 등 결과적으로 경인선은 패망의 토목사업이 됐고, 일제는 경인선을 바탕으로 수탈과 침략에 속도를 냈다. 해방 후 조국 근대화라는 미명으로 속에 산업 도시로 급성장한 인천은 경인선과 형제뻘인 경인고속도로를 통해 물자와 고급 인력이 급속하게 서울로 빨려 나갔다. 경인선 때문에 인천은 기형적으로 팽창했고, 철로 주변은 소음과 진동 등 환경피해를 봤다. 철로는 균형발전을 가로막으며 골 깊은 슬럼화를 안겼다.

더는 경인선으로 고통받을 수 없다.

경인선에 빼앗긴 122년 삶의 터전을 되찾을 수는 없어도 과거와 현재의 잘못된 관행을 여기서 끝내야 한다. 경인선 단절의 인천 역사를 회귀시킬 최상의 정책은 '경인선 지하화'이다.

▶관련기사: [인천의 미래, 대선으로 이음 공약 20선] 7. 경인선 지하화

경인선으로 동네가 반으로 쪼개진 인천의 미추홀구, 남동구, 부평구와 서울 구로구, 부천시는 십수 년 전부터 경인선 지하화에 노력했다. 서명운동은 해가 갈수록 거세졌고 선거 때면 단골 메뉴로 등장했다.

경인선은 물자 수송이 줄고 다양한 대안 교통 정책으로 세워지며 기능이 약화됐다. 인천만 해도 2000년 들어 인천 1·2호선이 경인선 기능에 상당한 분산 역할을 했다. 서울 7호선이 인천까지 이어졌고, 공항철도 또한 인천 서북부 지역에서 철로 기능을 한다.

이에 경인선으로 야기된 원도심을 개선하고 철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경인선 지하화가 내년 3월 대선을 맞아 인천 대선 20대 공약 중 하나로 채택됐다.

300만 인천시민 등 경인선 주변의 약 500만 수도권 주민들은 경인선 지하화를 성공시켜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바라고 있다. 이번에야말로 경인선 지하화가 성공적 정책으로 자리할 수 있게 관련 특별법 제정과 국가 정책 반영, 이를 위한 약 10조원의 국가 재정 투자가 요구된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의 미래, 대선으로 이음 공약 20선] 7. 경인선 지하화 인천역은 경인선의 시발점이다. 경인선 서울구간은 차츰 늘었지만, 인천구간은 개통 122년간 바뀌지 않았다. 경인선은 물류교통의 핵심인 인천에서 서울로 물자를 옮기겠다는 목적성이 강하다.그렇게 경인선은 인천-서울간 무수히 많은 사람을 이동시켰고, 화물을 실어 날랐다. 인천을 빠져나가 경인선을 통해 전국으로 흩어진 물류와 고급 인력을 기틀로 대한민국은 성장했지만, 경인선 주변의 인천과 경기도, 서울 주민의 고통은 컸다. 122년 밤낮없이 수시로 지나는 기차가 발생시키는 진동과 소음 피해가 막심했다. 도시 단절의 상징처럼 경인선 주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