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기·바리야크함 군함기·광제호 태극기...물려줘야 할 우리의 역사
어재연 수자기.

6월12일 신미양요 150주년이 되는 날이다. 한 달도 남지 않은 이 날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는 '뼈 아픈 역사를 되새겨 교훈으로 삼겠다'는 의지이다. 미국에 뺏긴 어재연 수자기를 되찾아와야 하는 후손의 도리를 잊지 않겠다는 각오도 담겨 있다. 그리고 5000년 역사 중 최악의 한 페이지와 같은 대한민국 근·현대사 속 러·일전쟁을 기억할 바리야크함 깃발과 경술국치로 뺏긴 나라와 해방으로 되찾은 조국의 상징과 같은 광제호 태극기 역시 인천은 기억해야 한다.

 

무지의 수모 '어재연 장군 수자기', 열강의 야욕 '바리야크함 깃발' 그리고 광복의 혼 '광제호 태극기.' 대한민국 근·현대사 200년. 인천은 유린당한 조국의 상처를 온몸으로 겪었다. 뜯긴 개항과 도둑처럼 찾아온 해방까지, 인천의 민초는 그런 세월을 견뎌 냈다. 인고의 세월이 고스란히 담긴 세 깃발.

▶관련기사 : [인천이 기억할 근대사 속 3개의 깃발] 토마스 듀버네이 영남대 교수 “불법 침입해 뺏은 수자기 전리품으로 볼 수 없어”

▶관련기사 :  [인천이 기억할 근대사 속 3개의 깃발] '포로 신세' 어재연 장군기, 강화로 잠시 귀환

▶관련기사 : [인천이 기억할 근대사 속 3개의 깃발] 대한제국 광제호의 태극기 인천개항박물관서 관람객 맞아

▶관련기사 :  [인천이 기억할 근대사 속 3개의 깃발] 러일전쟁의 상흔, 바리야크함 깃발에 남다

고요한 아침의 나라는 무지하고 무능해 300명의 아까운 목숨이 포화 속에 생명을 잃었다. 나라의 상징과 같은 수자기를 뺏겼어도 전혀 반성하지 못했다. 신미양요(1871년)는 국제정세에 까막눈이었던 조선을 여실히 보였고 이후 빗장을 꽁꽁 닫으며 멸망을 자초했다.

1904년, 인천은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각축장으로 전락했다. 조선 산하를 짓이겨 놓은 청·일전쟁(1894년)에 패한 뒤 꽁무니를 뺀 청나라의 빈자리에 러시아가 한반도를 노렸고, 인천 앞바다는 죽음의 전쟁터로 전락했다. 제물포 해전으로 일제는 조선 침략 야욕을 완수했고, 러시아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 전투 때 자폭한 바리야크함 깃발을 노획한 일제, 그 깃발은 해방 후 인천시립박물관이 보관했다.

그리고 1904년부터 광제호에 내걸려 조선의 독립국임을 드높였지만, 1910년 8월29일 경술국치 당시 광제호에 탑승했던 신순성 2등 항해사는 광제호 태극기를 침실 깊숙히 숨겼다. 해방될 때까지 고이 감춰진 광제호 태극기, 신순성은 해방을 보지 못하고 1944년 눈을 감았다. 이 태극기는 인천 최초의 의학박사인 신순성의 아들 신태범 박사 손에 맡겨져 1945년 해방과 함께 한반도 하늘에서 다시금 휘날릴 수 있었다.

세 깃발의 사연은 현재를 살아가는 300만 인천인이 뼛속 깊이 간직해야 할 역사적 교훈을 담고 있다. 그러나 어재연 수자기는 미국이 소유하고 있어, 우린 2년마다 빌려서 전시하고 있다. 러시아 국력과 한반도 운명에 따라 바리야크함 깃발의 사정도 매번 바뀐다. 나라 잃은 설움과 독립의 소중함을 일깨워준 광제호 태극기는 인천의 정신이다.

인천은 세 깃발 앞에 떳떳할까.

최근까지 수자기에 관심이 없던 인천시는 시민 반발 여론에 뒤늦게 다음달 12일 '19세기 국제 정세와 신미양요'란 제목의 학술대회를 계획 중이고, 십여 년 전까지 인천 내부에서는 “바리야크함 깃발을 러시아와 교류를 위해 영구임대해줘야 한다"는 정책을 세웠다.

인천의 한 향토 사학자는 “인천의 뼈아픈 근·현대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이 세 깃발을 두고두고 후손에게 물려 줘 다시는 어처구니없는 역사적 상황을 당하지 않게 교훈으로 남겨야 한다”고 일갈했다.

/이주영·김원진·이창욱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이 기억할 근대사 속 3개의 깃발] 토마스 듀버네이 영남대 교수 “불법 침입해 뺏은 수자기 전리품으로 볼 수 없어” “다시 (수자기가)한국을 떠나는 것을 보게 된다면 매우 슬플 것입니다.”까맣게 잊었다. 조미전쟁인 신미양요(1871년), 몰살된 광성보 전투와 전사한 어재연 장군(魚在淵 1823~1871), 그리고 빼앗긴 장군기(수자기)만으로 인식했다. 수자기를 되찾을 생각조차 하지 않았다. 그렇게 수자기는 2007년까지 약 137년간 후손의 무지와 무관심에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방치돼 있었다.미국인 토마스 듀버네이(Thomas Duvernay) 교수는 한국에서조차 제대로 알지 못한 수자기에 대해 사실상 처음 수자기 반환운동에 나선 인물로, [인천이 기억할 근대사 속 3개의 깃발] '포로 신세' 어재연 장군기, 강화로 잠시 귀환 고종 3년(1866년) 평양 대동강에 제너럴셔먼호가 나타났다. 통상을 요구하며 군민을 괴롭혔다. 연암 박지원의 손자 박규수 평안감사가 공격을 명했고 침몰시켰다. 5년 후 제너럴셔먼호 사건을 빌미 삼아 조선 개항을 목표로 미국 아시아함대 사령관 로저스가 5척의 군함과 1200여명의 병력을 이끌고 조선을 침략했다.1871년 6월2일(양력) 광성진 앞 염하에서 미군 함대가 포격을 개시했다. 6월10일 미군은 초지진을 불법 점령 후 6월12일 광성보 전투에서 어재연 장군 등 240여명이 전사하고, 100여명이 바다로 뛰어들어 자살했다. 2 [인천이 기억할 근대사 속 3개의 깃발] 대한제국 광제호의 태극기 인천개항박물관서 관람객 맞아 “예로부터 해상 방위의 요충이었던 인천에서 우리나라 근대식 군함 '광제호'의 역사적 산물이자 광복의 염원을 담은 태극기가 전수된다는 사실은 큰 의미가 있다.”가로 145㎝, 세로 82㎝. 이 큼지막한 태극기는 영욕의 세월을 견뎌냈다. 대한민국 하늘에 펄럭일 수 있게 된 것은 천운이었다.나라는 휘청거렸다. 일제의 탐욕의 입은 더욱 벌어져 대한제국을 통째로 삼켰다. 그렇게 조국은 일제 야욕에 무참히 짓밟혔다.대한제국 근대식 군함 '광제호(光濟號)'에 걸려 있던 태극기는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탄으로 어 [인천이 기억할 근대사 속 3개의 깃발] 러일전쟁의 상흔, 바리야크함 깃발에 남다 1904년 2월, 인천 앞바다에서 제국주의 러시아와 일본 함대가 맞붙었다(제물포해전). 조선을 식민지화 하려는 두 제국의 전투는 일본의 일방적 승리로 끝났다. 전투 중 러시아 순양함 바리야크(Варяг)가 자폭했다. 31명이 사망하고 191명이 부상당했다.바리야크함에 상징하는 군함기(가로 257㎝, 세로 200㎝)는 자폭 후 일제가 수거했다. 이 군함기는 성 안드레이기라고 불린다. 붉은색 바탕에 검은색의 띠가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X형을 이루고 있다. 자폭 당시 파편에 의해 훼손된 것을 현재는 배접한 깃발이 남아 있다. 깃발의 약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