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명선거를 실시해 보자는 국민적인 바람에도 불구하고 6·13지방선거가 과열·혼탁으로 치닫고 있다고 한다. 선거전 막바지 고비에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부정한 돈의 살포다. 부정으로 얼룩졌던 선거 일수록 막판에 돈이 뿌려졌다는 사례를 우리는 과거에 여러차례 겪은 선거에서 보아왔다. 더구나 이번 선거는 중앙정치가 지방정치를 압도하는 대선의 전초전 양상을 띠고 있는데다가 막판까지도 혼전(混戰)이 예상되므로 이러한 가능성이 어느때 보다도 크다 하겠다.
 요즘 시중에는 괴이한 소문이 파다하다. 선거 2~3일전 돈을 뿌리면 별 효과가 없고 최소한 7~8일 전에 돈을 써야 효염을 볼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런가하면 기초단체장 후보자의 재력(財力)을 기준으로 우열을 판가름하려는 풍조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이다. 선거전 초반부터 20억원을 쓰면 당선되고 10억원을 쓰면 낙선된다는 “20당 10락”설이 무성하던 지난날의 선거양상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이는 결국 법정선거비용 이외에 선거운동과정에서 파생될 수 있는 탈법적인 비용동원 능력에 따라 당락을 점치고 있다는 점에서 개탄을 금치 못한다.
 더구나 우려되는 것은 이같은 터무니 없는 소문의 진원이 바로 후보진영 관계자이거나 정당의 지도부라는 점이다. 고도로 계산된 상대방을 교란하려는 흑색선전일 수도 있어 일부 후보자들이 마치 불법경쟁을 하고 있는 듯한 느낌마저 들기도 한다. 선거운동 관계자들이 돈살포 시기를 들먹이고 노골적으로 매표를 부추기는 듯한 언사를 서슴지 않는 모습은 정말 꼴 불견이다.
 이러한 소문이 사실이라면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열세를 만회하려고 막판에 돈공세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선거가 끝난 뒤에도 실사를 통해 불법 탈법을 저지른 후보에 대해서는 응분의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는 선관위의 다짐을 지켜보고자 한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몰래 돈 봉투가 오가거나 은밀한 가운데 향응이 제공되는 등 음성적인 뒷거래 선거운동을 벌이다가 쇠고랑을 차거나 폐가망신하는 불행한 일이 없어야 한다. 돈으로 표를 모으고 단체장이나 지방의원을 돈 버는 수단으로 삼으려는 후보에게 유권자가 따끔한 맛을 보여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