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모바일 사업 시작 26년만…누적 적자 규모 5조원
"단기 매출 감소…사업체질 및 재무구조 개선 효과 기대"

 

▲ [연합뉴스 자료사진]

LG전자가 5일 이사회를 열고 모바일사업을 종료하기로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LG전자는 이날 이사회에서 7월 31일자로 MC사업본부가 맡은 모바일사업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이어 MC사업본부의 생산 및 판매를 종료한다고 영업정지를 공시했다.

이는 사업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지 2개월여 만에 모바일사업 종료 결정이다.

LG전자는 영업정지 사유에 대해 "사업 경쟁 심화 및 지속적인 사업 부진"이라며 "내부 자원 효율화를 통해 핵심 사업으로의 역량을 집중하고 사업구조를 개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동안 LG전자는 사업 매각을 위해 베트남 빈그룹, 독일 자동차그룹 폭스바겐 등과 접촉했으나 논의에 진전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LG전자는 통신사 등에 계약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5월 말까지 휴대폰을 생산하고, 휴대폰 사업 종료 이후에도 구매 고객과 기존 사용자가 불편을 겪지 않도록 충분한 사후 서비스를 지속할 방침이다.

LG전자는 휴대폰 사업은 종료하더라도 미래 준비를 위한 모바일 기술의 연구개발은 유지하기로 했다.

LG전자는 "6G 이동통신, 카메라, 소프트웨어 등 핵심 모바일 기술은 차세대 TV, 가전, 전장부품, 로봇 등에 필요한 역량이기 때문에 CTO부문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지속할 것"이라며 "특히 2025년경 표준화 이후 2029년 상용화가 예상되는 6G 원천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사업 종료 결정으로 1995년 LG정보통신으로 모바일 사업을 시작한 뒤 '초콜릿폰'과 '프라다폰' 등으로 한때 세계 시장 점유율 3위를 기록하는 등 한때 전성기를 누렸던 LG전자 휴대폰사업은 26년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사업 종료의 결정적 이유는 적자 누적이다. 특히 2015년 2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23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고 누적 적자 규모는 5조원에 달했던 것이 컸다.

최초의 LG 휴대전화 브랜드는 '화통'이었고, 이후 프리웨이, 싸이언, 프라다폰, 초콜릿폰, 김태희폰, 와인폰, 옵티머스, G/V시리즈 등 수많은 브랜드로 시장을 공략했다.

피처폰 시절 LG전자는 미국 CDMA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고, 2010년 3분기엔 분기 판매량이 2800만대에 육박하면서 세계 휴대전화 시장 3위에 올랐다.

초콜릿폰과 샤인폰, 프라다폰 등 피처폰으로 연이은 성공을 거둔 LG전자에 위기가 시작된 것은 2000년대 후반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하면서였다.

2007년 애플의 아이폰 등장을 계기로 세계 휴대전화 시장이 일대 전환기를 맞았으나 LG전자는 피처폰 중심의 사업 구조를 고수했다.

뒤늦게 2014년 선보인 스마트폰 G3가 1000만대 이상 팔렸으나 2015년 G4와 V10의 판매 부진, 2016년 모듈형 스마트폰 G5의 품질 문제가 불거지면서 시장에서 밀려났다.

지난해 내놓은 매스 프리미엄 벨벳과 스위블폰 윙도 흥행에 실패했다. 프리미엄 제품은 애플과 삼성전자에, 중저가군은 중국 업체에 시장을 완전히 빼앗긴 것이다.

/조혁신 기자 mrpe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