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삶의 질을 높이려는 일은 정말 중요하다. 대부분 국가에선 이를 향상시키려고 부단히 노력한다. 국민 삶의 질이 떨어지면 국가의 격과 질도 같이 하락해서이다. 물질적 풍요를 누릴 뿐만 아니라 인간답게 살 조건을 두루 갖춘 나라야 말로 국민들에게 삶의 만족도를 높인다. 그래서 우리 정부와 자치단체에서도 환경과 복지를 중시하는 질적 경제 성장을 추구하면서, 소득의 공정한 분배와 국민 최저 생활의 보장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그런데 '환경특별시'를 선언한 인천의 환경 분야 삶의 질 만족도가 전국 최하위로 나타나 안타깝기만 하다. 지난해 '국민 삶의 질' 지표에서 대기질·수질·토양·녹지 만족도 모두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것이다. 지난 2014년부터 통계개발원이 작성하는 이 보고서는 연간 통계지표를 활용해 11개 영역별로 삶의 질 변화를 보여준다. 보고서를 보면, 인천시민 삶의 질은 환경 영역 대부분 지표에서 최하위 수준이다.

전체 9개 지표 중 지역별로 순위를 매긴 대기질·수질·토양환경·녹지환경 만족도에서 인천은 전국 평균에 한참 못 미친다. 17개 시·도 중 꼴찌다. 대기질 만족도에서 인천은 23.9%로, 전국 평균 38.2%보다 크게 낮았다. 대기질 만족도에선 도시 지역 평균인 34.5%와도 10%p 넘게 차이를 보였다. 같은 수도권의 서울(26.6%)·경기(36.0%)보다 낮다. 녹지환경 만족도에서도 43.4%로 아주 낮은 수준이었다. 지난해 인천의 수질 만족도도 22.8%에 머물렀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20%대를 기록했다.

부끄럽다. '환경특별시'란 홍보가 무색하다. 이렇게 시민 생활환경 만족도가 낮아서야 어떻게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을 이루겠는가. 자꾸 인천의 인구가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듯싶다. 인천시는 시민 삶의 질 향상과 환경보호 등을 말로만 해선 안 된다. 시민들은 더 이상 구호에만 그치는 정책을 믿지 않는다. 시민 생활 현장 속 정책을 펴나갈 때라야 어느 정도 만족하기 마련이다. 시는 이제부터라도 실질적인 생활환경 질·불합리한 환경규제·잘못된 행정제도의 개선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그렇게 해야 비로소 '환경특별시'를 운운할 자격을 얻는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