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인천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감염병 전문병원 건립사업이 무산돼 아쉬움을 준다. 질병관리청은 감염병 전문병원 추가 건립을 위한 '권역선정위원회'를 열어 경북권역을 감염병 전문병원 입지로 선정했다. 질병청은 수도권·제주권·경북권을 대상으로 감염병 전문병원 추가 입지를 검토해왔다. 하지만 17개 시·도 감염병 전문가들로 구성된 권역선정위원회에선 경북권을 대상 지역으로 낙점했다.

질병청 전신인 질병관리본부의 2016년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방안 연구개발' 용역보고서에서도 인천은 감염병 전문병원이 필요한 5개 권역(인천·중부·호남·영남·제주) 가운데 하나로 제시된 바 있다. 국제공항과 항만 등이 자리잡고 있는 지역적 특성을 감안할 때, 인천이 감염병 전문병원의 최적지임을 고찰한 결과다. 정부는 2017년 호남권역(조선대 병원)을 시작으로 지난해 중부권역(순천향대 천안병원)과 영남권역(양산 부산대 병원)에 차례로 감염병 전문병원을 건립했다.

감염병 전문병원 지정을 위해 인천시를 비롯해 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공동 대응에 나서기도 했다. 인천에서 여야를 떠나 정치권이 한마음을 표출한 일은 이례적이다. 시는 시민사회와 민관협의체를 가동할 정도로 절실함을 피력했다. 국제 관문도시인 인천에 감염병 전문병원을 설립해야 한다는 논리였다. 메르스와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국내로 유입되는 만큼 꼭 필요하다고 했다. 감염병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고리를 끊으려면 입국 첫 관문에서부터 제대로 된 방역 시스템을 가동해야 하지만, 권역선정위원회에선 결국 이런 이유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인천시로선 난감하고도 아쉽게 됐다. 감염병 관련 전문 의사와 관계자들의 의견과 필요성을 감안해 정부에 요청해온 전문병원 건립 방안은 이번에도 수포로 돌아갔다. 그렇긴 해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으면 한다. 정부에서 경북권 이후 추가 권역을 선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대비해 인천에 감염병 전문병원이 들어설 수 있도록 준비 작업을 철저하게 이어가야 한다. 당장 이뤄지지 않았다고 손을 떼지 말기를 바란다. 계속 문을 두드리다 보면, 마침내 열린다는 교훈을 믿었으면 한다. 대한민국 안전을 위해선 나라의 관문도시 인천에 감염병 전문병원을 세워야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