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사업장 대기오염 감축 유도·친환경 차량 늘린다
▲ 박남춘 인천시장이 지난해 10월30일 시청 공감회의실에서 열린 ‘인천시 민·관 기후환경 자문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

지난해 인천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는 19㎍/㎥로, 수도권 3개 시·도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2015년부터 초미세먼지 농도가 관측된 이래 최저치다. 인천시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 관리 등의 영향으로 분석했다.

시는 올해에도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대형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감축 유도, 항만·공항 미세먼지 관리 등으로 인천 지역 특성에 맞춘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올해 목표치는 미세먼지(PM10) 34㎍/㎥, 초미세먼지 19㎍/㎥이다. 한발 더 나아가 시는 2030년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를 30㎍/㎥로 낮추고, 초미세먼지도 15㎍/㎥로 관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인천시는 올해 '인천형 맞춤 미세먼지 저감사업'을 7개 분야별 66개 세부 사업으로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미세먼지 저감 사업은 크게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인천형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대형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감축 유도, 항만·공항 미세먼지 관리, 도로 먼지 제거사업 등으로 나뉜다. 예산 규모로 보면, 지난해 2125억원에서 올해 2808억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지난해 저감 목표치 초과 달성

지난해 시가 미세먼지 저감 사업을 시행한 결과,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는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다. 지난해 인천 미세먼지 농도는 목표치 39㎍/㎥보다 낮은 34㎍/㎥, 초미세먼지는 20㎍/㎥보다 낮은 19㎍/㎥로 집계됐다. 시는 “코로나19로 인한 산업활동 감소 등이 농도 개선에 기여한 측면이 있었다”면서도 인천형 저감 사업 정책이 효과를 거둔 결과로 분석했다.

올해 시는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통해 초미세먼지 배출원을 고려한 사업을 펼치는 데 중점을 뒀다. 특히 배출원 가운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항만·선박, 건설기계, 비산먼지 저감을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

시의 미세먼지 배출원 현황 자료(2017년 기준)를 보면, 인천 초미세먼지 배출원 가운데 도로, 건설공사 등으로 발생하는 '비산먼지'가 35.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선박·항공 등 '비도로 오염원'(33.8%), 발전 등 '에너지 산업'(11.0%)이 뒤를 잇는다. 전체의 80%에 이르는 이들 배출원을 관리하는 게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핵심으로 꼽히는 이유다.

 

▲항만·공항 등 지역 맞춤형 사업

올해 인천형 맞춤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보면, 우선 비산먼지 분야에서 50억원 예산이 투입돼 10개 사업이 벌어진다.

시는 올해 신규 사업으로 대규모 건설 공사장 미세먼지 저감, 미세먼지 불법 배출 예방·감시에 나서기로 했다.

건설 공사장의 경우, 100억원 이상 규모의 관급 공사 현장에는 미세먼지 측정기 설치, 건설기계바코드 부착, 쿨링포그(안개 분사기) 등이 이행된다. 시는 군·구, 사업장 간 이행 협약을 체결해 저감 사업을 시행한다. 시는 또 민간감시원을 채용해 건설 공사장 등에서 미세먼지 불법 배출 행위를 점검한다고 밝혔다.

항만과 공항이 입지한 인천 지역 특성을 반영한 미세먼지 저감 사업도 시행된다. 시는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인천항만공사 등 관계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항만 하역장비 배출 기준을 신설하고, 분진성 화물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와도 친환경 차량·장비를 확충하고, 공항 운행차량 배출가스를 관리하는 저감 사업에 나선다.

발전·산업 분야의 미세먼지 대책도 한층 강화된다. 시는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했을 때 영흥화력발전 1~6호기를 대상으로 정격 용량의 80%로 제한 가동하는 '화력발전 상한 제약 운영'을 시행한다.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발전·정유 10개 업체와는 '블루스카이협의회'를 운영해 자발적 오염물질 감축 유도로 대기질 개선을 지속 추진한다.

박남춘 인천시장이 지난해 10월30일 시청 공감회의실에서 열린 ‘인천시 민·관 기후환경 자문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
박남춘 인천시장이 지난해 10월30일 시청 공감회의실에서 열린 ‘인천시 민·관 기후환경 자문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

▲“시민 체감하는 청정 도시 조성”

올해 미세먼지 저감 예산에서 1882억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수송 분야는 친환경 차량 보급과 노후차 저공해 조치가 뼈대를 이룬다.

시는 올해 전기차 7929대, 수소차 1010대 등을 목표로 지난해보다 친환경 차량 보급 규모를 대폭 확대했다. 노후차 저공해 조치와 신차 구입 지원 규모도 1만8183대에 이른다.

시는 또 미세먼지 발생원의 23%를 차지하는 도로 재비산먼지를 억제하기 위해 분진 흡입 차량을 기존 9대에서 10대로 확대 운영한다고 밝혔다. 유훈수 시 환경국장은 “공원, 버스승강장 등 옥외 미세먼지 저감시설 설치도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 대책 시행 등 체계적 대기질 관리로 시민이 체감하는 청정 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수치로 효과 입증했다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인 겨울철과 초봄에 시행되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효과가 수치로 입증되고 있다.

인천시는 제2차 계절관리제를 시행 중인 지난해 12월부터 올 1월까지 두 달간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22㎍/㎥로 분석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1년 전 26㎍/㎥보다 개선된 수치다.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는 지난 2019년 말부터 시행됐다.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이 잦은 겨울철과 초봄에 평상시보다 강화된 저감 정책이 추진되는 것이다. 2019년 12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4개월간 제1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가 시행되면서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24㎍/㎥로, 1년 전 같은 기간 32㎍/㎥보다 25% 감축되는 효과를 거둔 바 있다.

시는 이번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에 초미세먼지 위기경보가 발령되면 1단계부터 2단계 수준으로 격상 대응하는 '인천형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계절관리제 기간에는 오염물질 다량 배출 사업장의 자율 개선 참여, 사업장 감시가 강화된다.

또 주말과 휴일을 제외하고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과 타 시·도 차량의 인천 진입이 금지된다. 지난해 12월부터 두 달간 배출가스 5등급 자동차는 하루 평균 1만2042대가 운행됐는데, 이 가운데 80%인 9657대는 매연저감장치(DPF) 부착이 완료된 상태라고 시는 설명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