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국내 대중음악의 발상지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 음악사(史)에서 간과할 수 없는 곳이다. 개항(1883년) 이후 갖가지 서양문물을 받아들인 인천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대중음악에 한 발 더 다가서게 된다. 부평 미군부대 애스컴에서부터 싹을 틔웠다고 전해진다. 그 곳을 통해 1950∼60년대 팝·록·재즈 등 다양한 서양음악 장르가 유입됐다고 한다. 당시만 해도 설 무대를 찾지 못했던 대중음악인들에게 애스컴이 '전초기지' 구실을 한 셈이다.

인천시가 이런 '음악도시'란 이름에 걸맞게 활성화 방안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시의회 인천문화예술체육진흥연구회가 지난 22일 의회 회의실에서 '음악도시 인천' 관련 토론회를 주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여기에선 많은 제안이 나와 주목을 끌었다. 음악도시란 도시브랜드에 시민과 지역 음악인이 공감할 수 있는 관심과 참여 유도, '음악도시 운영 및 지원 조례' 제정, 사업 예산 규모 적정성 검토, 풀뿌리 음악 공간에 대한 정책 필요, 사업을 효율적·전문적으로 다룰 운영기구 설치 등 다양한 요구가 쏟아졌다.

다 일리 있는 고견이다. 어느 것 하나 놓쳐선 안된다는 인식을 시 관계자들이 가졌으면 한다. 이번 토론회 한 차례로 그칠 일은 아니지만, 그 결과물을 공유해 사업에 반영해야 한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엄청난 예산을 쏟아부은 만큼, 이를 적재적소에 투입하는 운영의 묘를 발휘해야 한다. 소요 예산 계획이 투명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렇지 않으면 가뜩이나 시 재정이 쪼들리는 상황에서, 시민들의 비난을 받을 수밖에 없다. 돈을 쓰는 곳에선 잡음이 일어나기 쉽다. 투입 예산을 철저하게 따져 한치의 소홀함도 없어야 한다.

인천시는 지난해 말 음악도시를 만들기 위한 마스터 플랜을 발표했다. 지난 7개월간 민관협의체 운영과 정책 토론회 등 민·관 소통과 협력의 최종 산물이었다. 올해부터 5년간 39개사업에 3544억원을 투입해 3대 목표 9개 과제 추진에 나서기로 했다. 반환되는 캠프마켓이 중심이다.

시가 내세운 '음악으로 행복한 시민', '음악으로 키우는 산업', '음악으로 활기찬 도시'는 구호로만 결정되지 않는다.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지역 음악인과 시민 의견을 듣는 등 제대로 소통을 하며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