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하루 1000여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3차 대유행 때 병상 부족으로 병원에 가보지도 못하고 자택 대기 중에 11명이나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만약 미국이나 유럽처럼 하루에 몇 만 명씩 확진자가 발생했다면 병상 부족으로 사망자가 다수 발생하는 등 의료시스템 붕괴로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었을 것이다.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코로나19 대확산은 감염병이나 재난 대응 측면에서 공공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공공의료기관은 총 221개로 전체 의료기관 대비 5.5%에 불과하고 병상은 9.6%로 OECD 평균의 1/10 수준으로 일본(27.2%), 독일(40.7%). 프랑스(61.5%)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특히 인천지역 공공의료기관은 3.5%, 공공병상 수는 3.3%로 전국평균보다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인천의료원은 지난해 1월20일 국내 1호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중국인 환자를 완치시키는 등 인천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 3000여명 중 80%를 치료하였다. 그러나 300병상의 작은 규모여서 의료인력 및 치료시설 부족으로 증세가 위중해진 중증환자는 치료를 제대로 못하고 대학병원으로 이송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70개 진료권역별 중증 감염병 진료에 공백이 없도록 의료체계를 확립하는 등 '지역 필수의료 지원을 위한 공공의료체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인천지역은 외국인 여행객의 80~90%가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들어오고 있는 등 대한민국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어 감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 '감염병 전문병원' 최적지로, 반드시 인천에 유치해야 하며 제2인천의료원도 조속히 건립해야 한다.

다행히 인천공공의료포럼 등 시민단체와 정치권이 손을 맞잡고 감염병 전문병원 인천 유치를 위한 긴급행동을 출범시키고 범시민청원운동에 돌입했다. 세계가 인정한 K-방역처럼 인천시민의 건강증진과 감염병 확산 등 국가 위기 시 지역거점병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공병원 확충에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 시기다.

 

/이경자 대한노인회 인천연수구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