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에 입주했던 절대 다수 기업들이 재입주를 원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개성공단 입주기업 111개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즉시 재입주하겠다'는 기업이 38.7%, '정부와 북측의 재개 조건에 따라 입주하겠다'는 기업은 53.2%에 달했다. 합해서 91.9%다. '재입주 의향없음'은 1.8%에 불과했다.

입주기업들은 지난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5년 동안 개성공단 기업인들은 쓰러져갔지만 위법한 공단 폐쇄에 대해 정부는 사과하거나 책임지지 않았고, 우리는 잊힌 존재가 됐다”고 강조했다.

개성공단 문제는 오로지 정부가 답해야 하는 사안이다. 개성공단이 2016년 2월10일 갑자기 폐쇄되었을 때 석연치 않은 점이 많았다. 박근혜 정부는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응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설득력이 떨어졌다. 2004년 남북 경제협력을 목적으로 문을 연 개성공단은 2010년 천안함 폭침, 연평도 피격 등으로 전쟁 분위기가 감도는 상황에서도 유지됐다. 때문에 일방적인 개성공단 폐쇄는 박근혜 정부의 즉흥적, 독단적 결정이라는 평가가 국내외에서 제기됐다. 당시 국정을 농단했던 최순실이 결정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더 이상한 것은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상황이 달라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남북 정상의 3차례에 걸친 회담으로 남북관계가 급진전되었지만 개성공단 재개는 심도있게 추진되지 못했다. 2018년 평양공동선언에 개성공단 정상화가 포함됐으나 2019년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추동력을 잃었다.

남북이 다시 대화 테이블에 앉게 되면 개성공단 재개에 최우선 비중을 두어야 한다. 차라리 개성공단만을 안건으로 삼는 원포인트 회담이 더 현실적일지도 모른다. 북한도 개성공단의 경제적 효과와 필요성을 인정하는 만큼 포괄적인 문제를 다루는 회담보다 합의가 수월할 수도 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바람은 간단하다. 북한에서 다시 일하는 것이다. 그들은 개성공단에 9000억원에 이르는 자산을 두고 나왔다. 개성공단 폐쇄가 길어지면서 해외로 떠나거나 어려움을 견디지 못하고 폐업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개성공단 재개야말로 한반도 평화의 초석이자 국민 재산권을 보전하는 조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