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추세에 코로나19까지 가세해 출생아도 크게 줄어든다. 각계에선 벌써부터 '인구절벽'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가뜩이나 출산율과 혼인률이 내리막길인데, 코로나까지 겹쳐 반등을 예상하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코로나 충격이 저출산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인천만 해도 지난해 11월 출생아 숫자가 역대 가장 낮은 1191명으로 기록됐다. 1년 전 같은 달보다 15.9%(226명) 감소했다. 매월 출생아가 줄어드는 추세라고 해도, 이렇게 떨어진 경우 지난 11월이 유일하다. 감소 폭은 더 우려스러운 수준이다. 2000년대 들어 2017년 11월 전년 동기 대비 _13.9%를 기록했지만, 작년 11월처럼 -15%대로 내려간 적은 없었다. 코로나19 사태가 같은 해 1월부터 시작한 점을 감안하면, 팬데믹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올해도 인천지역 출생아 수는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지난해 코로나 탓으로 혼인 건수 역시 감소해서다. 코로나 2차 유행에 시달렸던 지난해 3분기(7~9월) 혼인은 2503건에 불과했다. 1981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적다. 2013년 3분기 4138건과 비교하면 7년 동안 절반 가량 내려갔다. 혼인에서도 지난해와 비교해 감소 폭이 걱정스럽다. 2019년 3분기 혼인 3084건에서 1년 만에 18.8%(581건) 하락했다. 팬데믹 전에는 혼인 건수 감소율이 _10%대까지 진입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국내 전체 출산율도 비관적이다. 한국은행의 진단을 보면, 올해 0.8명대로 떨어진 합계출산율이 내년에는 0.7명대를 기록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소득 감소가 혼인과 출산을 앞둔 2030세대에 집중되면서, 임신과 결혼을 유예하거나 포기하는 일이 일어난다고 한다. 지난해 3~9월 중 전국 혼인 건수도 전년 동기보다 12%(1만6000건) 줄었다.

아무리 코로나가 기승을 부린다 해도, 출산율을 높이려는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이 절실하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도 더욱 그러하다. 무엇보다 젊은 층을 위한 대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가다간, 우리나라가 세계에 대응하는 경쟁률이 점점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출산·혼인 정책을 다시 세우길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