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세상을 바꾸고 있는 중이다. 그 중에서도 사람들의 사이를 갈라놓고, 경제적인 피해를 주는 일이 가장 큰 변화다. 언제까지 이 팬데믹이 진행될 지는 아무도 모른다. 백신 개발과 접종 등으로 잠잠해질 거라고 예상하는 전문가들도 드물다. 하루빨리 코로나19가 종식돼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지만, 그렇게 될지는 미지수다. 국민들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한 상황에서 답답함을 하소연한다.

인천시민들도 여기서 벗어나지 않는다. 코로나19는 방역 차원의 문제를 넘어 시민들의 삶을 흔들어 놓았다. '코로나 블루'라는 신조어가 생겨났을 정도로 무기력해진 일상은 우울감을 높인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는 감염병 확산을 막는 데엔 기여했지만, 소상공인이 몰락하는 현상도 낳았다. 3차 유행이 진행 중인 코로나19 위기를 시민들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지난 1년간 1차와 2차 유행 직후 설문조사를 통해 달라진 시민들의 일상을 짚어보자.

본보가 입수한 지방자치데이터연구소 연구자료를 보면, 지난해 10월 인천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우울하다'는 응답률이 50.3%에 달했다. 연령층은 18세부터 30대까지가 62.2%로 제일 높았다.

40대(44.3%)나 50대(50.1%), 60대(39%)의 우울감은 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외출을 자제한다'는 응답률도 88.1%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인천연구원 보고서에선 시민 10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가장 큰 피해로 '생계 및 경제 위기'(28.6%)를 꼽았다. 직업별론 자영업자(49.3%), 기간제 노동자(34.7%) 순이었다. '코로나19 이후 소득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비율도 71.8%에 달했다. 이런 형편은 반년여가 지난 현 시점에서 더욱 악화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자영업을 비롯해 비정규직과 저소득 취약계층 등의 경제적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아무리 팬데믹이 유행해도, 지속가능한 지역경제를 유지하는 일은 필수적이다. 정부뿐만 아니라 지자체 차원에서 시급히 관련 정책을 세워 집행해야 한다. 우울증과 코로나19의 상관성도 밝혀진 만큼, 위험군에 대한 복지 사각지대 점검도 절실하다. 시민들도 각자 '마음 관리'를 잘해 코로나19 극복에 힘을 쏟아야 할 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