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2월 28일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임병택 시흥시장과 제1호 경기도형 특별 생활치료센터가 운영중인 (구)시화병원을 방문해 최병철 시화병원 이사장 및 직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코로나19 사태 1년간 경기지역에서 일어난 대응 문제에 많은 대책이 쏟아져 나왔다. 앞으로 닥칠 감염병에도 정상 작동할 수 있도록 사회 시스템에 녹이는 것이 관건이다.

도는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에 있는 기숙사를 시작으로 LG연수원·SK인재개발원 등 자원을 '생활치료센터'로 전환했다. 이는 전국 최초로, 병상 부족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아이디어였다.

또 지난 8일에는 폐원으로 운영이 중단된 시흥시 옛 시화병원 건물을 '특별 생활치료센터'로 지정했다. 생활치료센터에서 응급의료대응 기능을 더한 신개념 시설이다.

앞서 지난해 2월 전국 최초로 숙박시설인 유스호스텔을 자가격리자 임시생활시설로 운영한 수원시도 최근 생활치료센터로 전환 운영한 사례가 있다.

지자체들의 조치 덕에 수천 명의 환자 치료의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공공의료는 한층 체계화된다. 도는 2021년 예산에서 도 의료원 운영 및 기능 보강 목적 594억원 등 공공의료 강화에 총 3조9383억원을 편성했다.

정부 차원에서도 필요성이 높은 지방의료원 확충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지방의료원 신·증축 국고 지원 현행(50%)보다 10%p 증액 등 대책을 내놓았다.

인력 부분도 개선될 전망이다. 간호사들이 열악한 처우에 현장을 떠나는 일에 정부가 내부적으로 방안을 찾고 있다. 지방 역학조사관 처우의 경우도 정계가 해결책을 고민 중이다.

다만, 도내 지자체들은 이에 대해 '지속성'이 받쳐줘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감염병이 수그러들자 묘연해진 대책 또한 수두룩하기 때문이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이번 치료시설 전환을 예로 들면, 주민과 학생들의 반대가 만만치 않았는데 우리 사회가 상시적인 민·관 협력체계를 갖춰야 추후 비슷한 상황에 혼란이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역학조사관 확충 사안은 5년이 지나서야 해결됐고, 공공의료시설 강화 등 과제가 아예 이행되지 않은 선례가 있다.

경기도는 지난 14일 브리핑에서 “힘겨웠던 집단감염 시설 방역 대응에서 한숨 돌릴 수 있게 되었을 때 우리가 할 일은, 고위험 공간을 더 안전하게 보호해 내는 전략을 새로 세우고 실행하는 일”이라고 밝혔다.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



관련기사
[코로나 1년 무엇을 남겼나] 1.감염병 대응시스템 전대미문의 감염병, 코로나19는 지난 1년간 우리 사회가 갖춘 안전망에 하나둘씩 구멍을 냈다.특히 확진 규모가 큰 경기지역은 여러 방역 분야가 위급상황을 넘나들고 있다.▶관련기사 3·6면#채울듯 채워지지 않는 의료 시스템경기도는 2004년부터 경기도의료원 6곳(수원·의정부·파주·이천·안성·포천병원)이 운영된다. 감염병 사태에서 공공의료의 중요성은 사실 이곳으로부터 출발했다.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창궐 당시 민간병원은 혼란 그 자체였다. 다행히 도의료원 수원병원이 '중점 치료센터'로 전환, 체계화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