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이미지는 해당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그동안 인천 정치는 원도심 '우클릭', 신도심 '좌클릭'으로 인식됐다. 그에 따른 연령별 정치 성향도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는 게 정설이다. 하지만 모든 정치이슈를 좌지우지하는 건 '재산권' 때문이지 지역과 연령은 정책 결정의 하나의 변수일 뿐이라는 게 옳은 답일 것이다.

14일 인천 정치권, 300만 인천시민을 위한 고른 재정 혜택과 모든 시민의 행복지수 상승을 위해 노력 중이다.

이에 강화군부터 서구와 부평구, 계양구를 지나, 남동구, 동구, 중구를 거쳐 미추홀구, 연수구에서 힘이 결집해 인천의 끝 옹진군까지 인천 정책은 한결같고 300만 시민에게 공평해야 한다.

인천의 미래를 그리겠다며 “믿어달라”는 호소로 2018년부터 3년째 정책 수행 중인 인천시장과 인천시교육감, 10명의 군수·구청장, 37명의 시의원, 118명의 기초의원들, 그리고 2020년 당선된 13명의 지역 국회의원은 그들에게 선거구별 지역 주민의 생명수 같은 '1표'를 위해 24시간을 뛰고 있다.

그러나 당선 직후 지역 전반에 고른 정책과 혜택을 선물하겠다는 '약속'은 시들해지고, 선거가 임박할수록 정치인들의 눈길과 발길, 정책과 재정지원, 혜택까지 모든 게 한쪽으로만 치우친다는 불만이 지역 곳곳에서 자리잡는다. 반면 정책 쏠림현상의 대상지역에서는 "당연하다"는 반응이라 정치인들의 행보에는 더욱 힘이 붙는다. 심지어 인천 전체를 위한 정책 결정에도 '그곳'이 대상이라면 한순간에 뒤바뀔 가능성이 크다.

김민배 인하대 법학대학원 교수는 “원도심과 신도심에 대한 기존의 지역별 정치성향은 이제 맞지 않는다”는 진단을 내렸고, 지역 A정치인은 “솔직히 목소리 큰 곳에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조금이라도 지역에 피해를 당하는 것에 민감하고, 하나라도 도움이 될 정책이라면 모두가 손을 잡는 '신도심', 연령층이 높아 정책 흡수가 부족하고 단독·연립주택 등 인구밀집도가 낮아 의견일치와 교환마저 힘든 '원도심'. 이 차이는 표를 움직이는 힘이기에 인천 정치판은 신도심 눈치를 보게 되고, 표 기대력이 낮아진 원도심에 인천 정치판의 손길은 점점 멀어지는 것은 아닐까.

지역 B정치인은 “원도심에 거주하는 분들도 남쪽은 송도로, 북쪽은 청라로 가고 거주지를 옮기려 하는 게 맞지 않냐”며 “원도심은 신도심에 대해 상대적 박탈감이 크지만 정치적 응집력이 약해 솔직히 그들 목소리가 정책에까지 반여되는 경우는 높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3면

/이주영·김원진·이창욱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선거, 도심 흥망성쇠 바로미터 되다] 3. 쪼그라드는 원도심, 인천시정서도 소외당해 “인간이란 어버이 죽음은 쉽게 잊어도 재산권 상실은 좀처럼 잊지 못한다.” 마키아밸리 군주론 제17장의 한 대목이다.자본주의 사회에서 재산권 행사는 당연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활동은 필연적이다. 그렇지 못한다면 시대를 역행하는 것이고, 소극적 정치활동으로까지 비친다. 그렇기에 정치권은 재산권에 맞춰 정책이 결정되고, 재정 집행 순위가 변동될 수밖에 없다.문제는 원·신도심간 극명한 정치 참여 수준이다. ▲신도심, 우리가 바꾼다“한 번뿐인 인생, 송도에서 삽시다.”인천 최대 커뮤니티로 왕성한 활동 중인 '올댓송도'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