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획정, 현재 바탕으로 미래 가늠
과거인 원도심은 논의서 환영 못받아

고령화 원도심 입지 점점 좁아지지만
신도심 SNS 활발한 청년 늘며 입김

선거는 만인에 공평하다. '1인1표'를 통해 내가 거주하는(주민등록상) 곳의 위정자를 뽑는다. 그러나 내 동네 위정자와 저 마을 정치가가 같은 '무게감'으로 대의전당에서 활동할까. 쉽게 답하기 어렵다.

2021년 1월 현재, 인천에는 13명의 지역 국회의원과 37명의 광역의원, 118명의 기초의원이 활동 중이다.

▶관련기사 3면

지난 2020년 제21대 총선을 통해 국회의원이, 2018년 제7회 동시지방선거를 거쳐 광역·기초의원이 300만 인천시민의 동량이 됐다. 국회에서 '국회의원'과 '광역의원'의 정수를 정하고, 이에 맞춰진 선거구가 획정되면 기초의원은 '인천시 군·구의회의원 선거구와 선거구별 의원 정수에 관한 조례'를 거쳐 선거구 획정과 선거정수가 결정된다.

국회의원 선거구획정 관련 오랜 연구와 이를 기초로 한 선거구획정 위원 등으로 참여한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선거구획정은 생활권과 경제권, 문화권, 교통권을 바탕으로 이뤄진다”며 "이러한 4가지 원칙에서 선거구획정이 벗어나거나 어긋나면 올바른 선거구획정이라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선거구획정은 현재를 바탕으로 미래의 가능성까지 염두에 둔다. 반면 과거는 선거구 획정 논의 대상에 낄 틈이 없다. 이에 원도심(구도심)은 도심이 침체되고 그에 따라 젊은층이 빠져나가며 심각한 고령화로 정치력이 떨어지는 반면 신도심은 젊은층 유입에 따른 SNS(사회관계망서비스)의 활발한 정치활동이 더해지며 정치적 입지가 더욱 커지고 있다.

실제 현 인천시 행정구역의 뿌리인 중·동·남(미추홀)·북(부평)구 중 1대 인천시의회인 1991년 이후 제8대 시의회가 출범한 2018년과 비교해 중구는 3명에서 2명으로, 3명에서 시작한 동구는 1명으로 줄었다. 여기에 1995년 인천광역시 승격 후 인천 품에 안긴 강화·옹진군 또한 지역을 대표하는 광역의원은 단 1명뿐이다. 신도심이 늘고 있는 남동·연수구와 서구의 광역의원은 증가 추세다. 결국 지역의 인구수 감소와 연동된 선거구가 획정되며 정치적 영향력마저 신도심 부익부, 원도심 빈익빈이 심화하고 있다.

원도심 A 인천시의원은 “지역의 후퇴가 결국 정치적 후퇴로 이어지며 지역을 대변할 위정자가 줄어들게 돼 그에 따른 행·재정적 지원 등이 뒷받침되지 못하는 현실”이라며 “인구수 감소에 따른 선거구 획정과 정수 조정은 이해되지만 기초자치단체라는 격에 맞는 지방의원의 숫자를 확보해야 지역을 대변하는 제대로 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주영·김원진·이창욱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선거, 도심 흥망성쇠 바로미터 되다] 2. 총선 '깍두기' 신세 원도심, 지방의회 목소리도 작아져 “(21대 총선)선거구 획정안은 단순히 인구수만을 기준으로 지역주민의 생활문화권을 무시하는 일방적인 선거구 획정이다.”, “자치분권과 균형발전에 역행하는 행태이다.”2020년 4·15 총선을 앞두고 국회는 비상이 걸렸다.국민은 '표의 등가성'과 '지역의 특수성'이 동시에 충족된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옳은 해법을 기대했다. 그리고 선거구획정의 최종 결정권자인 국회가 답을 내놨다.예상처럼 국회 여·야당은 수도권과 지방의 유·불리 선거구를 반씩 나누는 것으로 선거구획정 논란을 봉합했다. 이마저도 총선일이 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