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통근 접근성 부족
대부분 농촌 지역적 특성
경기도청 전경. /사진출처=경기도청 홈페이지
경기도청 전경. /사진출처=경기도청 홈페이지

인구 감소가 급격한 경기도내 기초정부는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구 감소세가 가파른 탓에 30년 이내 소멸할 수도 있다는 분석까지 뒤따르는 현실이다.

12일 경기도에 따르면 해당 지역은 가평·동두천·양평·여주·연천·포천시 등 6곳이다.

경기 동북부지역에 해당하는 이곳 기초정부는 서울과 통근 접근성이 부족할뿐더러 대부분 농촌 지역적인 특성을 보이는 탓에 인구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아울러 일자리와 지역 생산성도 부족해 젊은 층 유입을 기대하기 힘들고 인구 고령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실제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주민등록 인구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동두천시 인구수는 2016년 9만8277명에서 지난해 12월 기준 9만4353명으로 감소했다. 약 5년이란 시간 동안 인구수는 꾸준히 감소했다.

연천과 포천시도 같은 기간 각각 4만5900여명→4만3500여명, 15만4800여명→14만7300여명으로 인구수가 해마다 줄어들었다.

여주시는 2016년 11만1600여명에서 2019년 11만1100여명으로 꾸준히 감소하던 중 지난해 11만1900여명으로 소폭 상승했다.

소멸 위험 지역은 20~39세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로 나눈 값을 통해 정한다. 즉 소멸 위험 지역은 출산 가능 인구가 적고 고령 인구가 많다는 의미다.

이처럼 저출산과 높은 전출 인구로 학생 수가 급감하면서 이들 기초정부는 폐교 숫자 역시 늘어나는 실정이다.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 공개된 전국 시·도교육청 폐교재산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해 5월 기준 도내 폐교 숫자는 169개다. 이 중 매각된 폐교 57개를 제외한 112개 중 절반 이상인 57개(50.89%)가 소멸 위험 지역에서 발생했다. 양평군이 14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가평·연천군 13개, 여주·포천시 7개, 동두천시 3개 순이다.

소멸 위험이란 분석이 현실로 다가오자 도는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한 인구수 관련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일자리 창출과 낙후 지역 인프라 개선으로 전입 인구를 늘리는 게 핵심이다.

도 관계자는 “지역균형 발전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해당 지역 6곳에 대한 인구수 늘리기 사업을 하고 있다. 아무래도 이들 지역이 서울 등과 멀리 떨어져 있고 군사 보호지역과 접경지역 등으로 묶인 탓에 여러 제약을 받는 게 많다. 인구수가 늘어나려면 무엇보다 살기 좋은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출산도 중요하지만, 일자리를 만들어 전입 인구를 늘리는 게 소멸 위험 지역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라며 “인구수 정책이라는 게 당장 눈으로 효과를 확인할 수는 없다. 다만 소멸 위험 지역에 대한 위기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 관련 연구기관과 전문가 등과 대책 마련을 고심 중이다. 지역 실정에 맞는 다양한 정책을 발굴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태환 기자 imsens@incheonilbo.com



관련기사
김포·파주·의정부, 올해 인구 50만명 돌파 가능성 김포·파주·의정부시가 인구수 50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들 지역은 서울과 가깝다는 지리적인 특징뿐 아니라 각종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일자리 창출로 인구수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지난해 말 도내 11번째 인구수 50만명 도시가 된 시흥시에 이어 올해 안에 12~14번째 인구수 50만명 도시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12일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김포시 인구수는 2010년 23만8339명에서 지난해 47만4000여명으로 약 10년 동안 24만여명이 급증했다.▶관련기사 3면김포시 인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