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 '인구구조 변화' 보고서, 일자리 창출·삶의 질 향상 주문
/연합뉴스

최근 3년 연속 '인구 순유출' 현상이 나타난 인천에서 다른 지역으로 인구가 빠져나간 원인은 '일자리'로 분석됐다. 경제자유구역 중심의 대규모 도시개발은 원도심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 불균형'을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인천시 인구정책이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면서 연령별·계층별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1일 인천연구원은 '2020 인구구조 변화와 인천시 인구정책' 보고서를 통해 “인천 순이동 인구는 2011년 이후 하락해 최근 3년간 유출이 지속됐다”고 진단했다.

인구 이동 분석 결과, 가장 큰 원인은 일자리였다. 인천연구원은 “시·도 간 이동 인구의 전입과 전출 목적을 비교하면 인천에서 다른 시·도로 전출하는 경우 '직업' 요인이 우세하게 나타난다”며 “인천 외부로의 이동은 새로운 일자리를 얻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높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인구 변화는 출생·사망으로 인한 자연적 증감과 사회적 요인으로 결정된다. 인천 합계출산율이 지난 2019년 0.94명으로 1명 미만으로 떨어진 통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자연적 증감 자체가 감소세로 접어들었지만, 연구진은 사회적 요인에 주목했다. 전입 인구보다 전출 인구가 많은 순유출 현상이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3년간 이어지고 있는 까닭이다.

인천 내부에서의 인구 이동 목적은 '주택'이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공급된 대규모 신규 주택 물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원도심 지역은 2001년 이후 전반적으로 인구가 순유출됐고, 미추홀구·부평구·계양구의 경우 2000년대와 2010년대 모두 지속적인 유출 지역으로 분류됐다. 연구원은 “군·구 간 이동 특성의 주된 원인이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공급되는 주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진단했다.

인구정책 과제로는 연령별·계층별·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전략이 제시됐다. 특히 '청년·생산연령 유입 확대'와 '고령자 맞춤형 지원 강화' 전략의 첫머리에는 '일자리 확대'가 꼽혔다. 신혼가구와 청장년층, 고령자 주거 지원과 생활만족도 제고도 주요 과제로 꼽혔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인천의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장기적 관점에서 근본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며 “연령과 계층별로 맞춤형 인구정책을 수립하되, 모든 세대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