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재확산과 한파로 노인_노숙인을 대상으로 하는 무료급식소가 잇따라 문을 닫아 취약계층은 한끼 식사조차 제대로 하기 어려워졌다. 소외계층에게 사랑의 밥차를 지원하는 경기도 내 5개 자원봉사센터(수원, 화성, 안산, 김포, 하남)는 혹한기인 1~2월에 무료배식을 중단한다.

전국에 16개 급식소를 운영하는 전국천사무료급식소 또한 코로나 감염 예방을 위해 무료급식을 중단했다. 이처럼 코로나 여파로 무료급식소들이 줄줄이 문을 닫았고, 일부 종교단체 정도가 한파 속에서 노인_노숙인들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실정이다.

코로나로 각종 행사 취소가 잇따르고 시민들이 이용하는 사회복지시설들이 문을 닫았지만 무료급식 중단은 또 다른 의미에서 심각하다. 아무리 바이러스가 공포스러워도 하루하루 연명하기 바쁜 이들에게는 굶는 것이 더 두려울 것이다. 옛날에도 서민들은 역병보다 기아를 더 무서워했다. 인간 생존에 있어 가장 기본은 먹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인천지역 사례가 주목받을 만하다. 인천지역 노인 무료급식소 42곳(공공기관 운영 27곳, 종교시설 운영 5곳, 민간 운영 10곳)은 코로나 사태가 본격화된 이후 모두 문을 닫았지만, 음식을 포장한 대체식을 독거노인 등에게 배달하는 방식으로 무료급식 공백을 메우고 있다. 노인들 입장에서는 어찌됐든 음식을 제공받기에 무료급식소 장기 중단에도 그런대로 버티고 있다.

게다가 대체식으로 전환하면서 한끼 식사 단가를 2700원에서 4000원으로 높였다. 또 식사 지원 대상을 320명 추가(기존 4403명)했다. 현재 여건에서는 차선의 방법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래도 노인들이 급식소에서 따듯한 음식을 제공받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것이다.

재앙이 닥치면 '없는 자'들이 가장 큰 피해와 고통을 받는다. 무료급식소 운영 중단이 바이러스 감염 차단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지만, 가장 기본적인 사회안전망 붕괴로까지 이어질까 우려된다. 무료급식은 소외_취약계층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사회장치다. 코로나가 진정돼 급식소가 정상 운영되기 전이라도, 지자체들은 대책 마련에 적극성을 보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