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환경특별시 인천, 자원순환 선도도시 인천'을 선언했다.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앞두고 자체매립지 설치, 폐기물 소각시설 확충 등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매일 쏟아지는 수도권 쓰레기는 포화 임계점에 다다르고 있다. 4자 협의체인 서울과 경기, 환경부는 자체매립지 확보보다 매립지 연장 사용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 바 있다.

인천의 독자적인 자체매립지 추진 정책은 인천 환경주권의 회복이라는 관점에서도 당연한 선택이다. 민선7기 후반기에 들어선 박남춘 인천시장이 꺼낸 쉽지 않은 카드이지만 무게와 의미가 있는 과제로 주목된다. 박 시장은 새해 첫 인사를 앞두고 균형발전정무부시장에 자체 매립지 등 자원순환 정책 추진에서 당과 소통할 수 있는 인력 유입을 비쳤다. 자원순환 도시 육성에 대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안팎의 사정은 녹록지 않다. 자체매립지, 소각장 입지 주민들과 해당 지자체의 반발도 거세다. 연수구, 남동구, 미추홀구 등 3개 자치구는 남부권 소각장 예비후보지 2곳에 대한 전면 철회를 요청하는 공동합의문을 시에 전달하기도 했다. 옹진군은 영흥도 인천에코랜드 조성을 반대하며 군수가 단식농성까지 들어갔었다. 서구는 신규 소각시설의 자체 폐기물 처리 용량을 두고 시와 이견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매립지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소통에 나섰지만 당내 의견 조율과 대안 마련에 난항이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인천시의 자원순환 행보가 본격화되고 있다. 시민을 대상으로 송도·청라 폐기물 소각시설 견학버스 운행 등 자원순환 홍보전에 나선다고 한다. 박 시장은 본보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자원순환정책 대전환은 기존의 비환경적인 정책을 선진적인 지속가능한 정책으로 전환하려는 것”이라며 “우리나라 친환경 자원순환의 첫발”이라고 밝혔다.

인천시가 최근 공공기관과 함께 추진하기로 한 1회용품·자원낭비·음식물 쓰레기 등 세 가지가 없는 '친환경 3무(無) 청사' 운영도 '환경특별시 인천'의 출발점인 셈이다.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이 미래 시민의 삶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자원순환 정책에 얽힌 지역갈등이 해소되길 바란다. 후세대까지 이어져야 할 생활환경 혁신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