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온갖 어려움 가운데서도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 로드맵을 밟아가고 있지만 서울, 경기는 '계속 사용'의 속내를 감추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30년 가까이 남의 동네에 쓰레기를 퍼 나른 것도 모자라 '잔여부지 사용'이니 '법적 대응'이니 하는 태도다. 대체매립지를 찾으려는 노력은 시늉만 하고 2015년 4자협의 문구를 빌미로 우선 편한 수도권매립지 연장을 이제는 공공연히 들고나온 셈이다.

지난달 서울시의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 환경본부장은 “수도권매립지는 인천 것이 아니다”라고 답변했다. 인천시가 대체매립지를 찾는데 불참한다면 기존 매립지를 추가 사용하는 쪽으로 일이 진행되는 것이라고도 했다. 앞으로 잔여지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면 여러가지 인허가권 등에 대한 법적인 검토까지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발언은 지난달 5일 인천시가 친환경 자체 매립지인 '인천 에코랜드 조성 계획'을 발표한 지 하루만에 나온 것이다. 인천은 지역내 갈등을 감수하면서까지 '쓰레기 발생지 처리 원칙'에 바탕한 자체 매립지 조성에 나서 있는데도 서울시는 수도권매립지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법정 다툼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속내를 내보인 것이다.

경기도 역시 다르지 않다. 지난달 13일 경기도의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 환경국장은 “수도권매립지를 사용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인천이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선언한 2025년 이후의 대책을 묻는 데 대한 답변이었다. 경기도는 소각장을 증설하고 기초자치단체 9개 매립지를 권역별로 사용하는 플랜B도 준비하고 있다면서도 기본적으로는 수도권매립지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그간 서울과 경기도가 대체매립지 조성을 위한 4자 협의체 회의 등에서 시간만 질질 끌어온 이유가 여기에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는 인천으로서는 사활의 문제다. 법정 다툼을 통해서라도 마르고 닳도록 인천에 쓰레기를 묻으려는 저의를 더 이상 묵과할 수는 없는 일이다. 서울•경기의 속내가 명확히 드러난 이상 인천은 더욱 발생지 처리 원칙을 견지해야 할 것이다. 인천에코랜드 조성이 그 첫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