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개항장·동구 산업유산 등
보전 방안·진흥구역 지정 용역
도시정비구역 내 훼손을 막고
지역 활성화 전략 함께 제시해
인천광역시청 청사 전경. /사진출처=인천시청 홈페이지
인천광역시청 청사 전경. /사진출처=인천시청 홈페이지

인천 중구 개항장 근대건축물과 동구 산업유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계획이 수립된다. 인천시는 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 구역에 포함돼 철거 위기에 놓인 근대건축물을 활용하고, 건축자산을 점·선·면 단위로 접근해 가치를 높이는 방안도 제시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이달부터 '건축자산 보전 방안과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용역'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2022년 5월까지 1년 6개월간 진행되는 이번 용역을 통해 시는 보존 가치가 있는 건축자산과 산업유산을 관리하는 계획을 세운다. 시는 용역 과업내용서에서 “개항장 인근지역 등 인천 전역에 분포한 건축자산이 임의로 철거될 가능성이 높아 보전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용역에선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이 검토된다. 건축자산 밀집지역이 진흥구역으로 지정되면 '한옥 등 건축자산법'에 의해 기반시설 정비, 건축물 개보수 등에 정부·지자체 지원이 이뤄진다. 시는 '개항기 근대건축물 밀집지역 지구단위계획 구역'으로 묶인 중구청 일원(47만878㎡)과 동구 만석동 등 산업유산 일대(182만4000㎡)를 대상으로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을 검토하고 있다.

시는 또 근대건축물을 비롯한 건축자산의 점·선·면 단위 관리 방안을 세우기로 했다. 개별 건축물을 '점'으로 보는 접근법을 '선'과 '면'으로 확장해 지역적 특성을 접목한 건축자산 보전 개념을 확립하려는 것이다.

도시재생과 연계한 건축자산 보전 방향도 제시된다. 시는 도시재생사업 추진 구역에 위치한 건축자산을 주민 공동이용시설, 지역 특성화 자산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기로 했다. 재개발과 같은 도시정비사업 구역에 속해 철거 위기에 몰려 있는 건축자산의 활용·보전 계획도 수립된다. 인천일보가 시의 '인천근대문화유산' 210개 목록 가운데 현존을 확인한 164개의 토지이용계획을 분석한 결과, 21개(12.8%)가 도시정비사업 구역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일보 10월27일자 1·3면>

시 주택녹지국 관계자는 “점·선·면 관리 방안을 마련해 보존 가치가 있는 건축자산과 산업유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려는 용역”이라며 “건축물이 훼손되지 않고 보전될 수 있는 방안과 지역 활성화 전략을 함께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관련기사
[근대건축물 수난사, 210동의 기록-3 남아있는 근대문화유산도 위험] 20년 역사 국가 등록문화재…인천엔 한 채뿐 지난 1989년 인천 중구 항동5가에선 서양식 2층 구조로 지어졌던 옛 대한천일은행(조선상업은행) 인천지점 건물이 철거됐다. 이후 동인천등기소가 신축되고, 지금은 인천문화재단이 들어선 자리다.당시 인천시가 문화재로 지정한다고 공고하자 소유주였던 조양상선 측은 곧바로 건물을 헐어버렸다. 조우성 전 인천시립박물관장은 “문화재로 지정되면 재산권 행사를 못 한다는 인식 때문에 근대건축물이 철거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대불호텔도 1978년 문화재 지정 소문이 돌자 소유주가 철거한 사례”라고 말했다.등록문화재는 근대문화유산을 보호하려는 취지 [근대건축물 수난사, 210동의 기록-3 남아있는 근대문화유산도 위험] 수십 년 세월 버텨와도 도시재생 바람 앞 등불 근대건축물에 드리워진 철거의 그림자는 '도시재생'으로 더욱 짙어진다. 대규모로 벌어지는 재개발은 개별 건물의 역사성을 뒤로 한 채 동시다발적 철거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시한부 선고'나 다름없다.인천일보가 두 달여간 '인천근대문화유산' 210개 목록의 전수조사를 거쳐 현존을 확인한 164개 가운데 21개(12.8%)가 도시정비사업 구역에 포함된 것으로 집계됐다. 근대문화유산 주소지를 국토교통부 '일사편리 부동산정보조회 시스템'에 일일이 입력해 토지이용계획을 [근대건축물 수난사, 210동의 기록] 3.남아있는 근대문화유산도 위험 “10년쯤 전에 주인이 팔고 떠나면서 폐가가 됐어요. 바로 옆에도 2층 집이 있었는데 부모가 세상을 뜨니까 멀리 사는 자식들이 허물어버렸지.”인천 동구 화평동 주민 이두남(80)씨가 지난달 6일 철제 담장이 둘린 집을 가리키며 말했다. '인천근대문화유산' 목록에 “목조 2층 건축물로 1층은 상업 용도, 2층은 주거용으로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설명과 함께 포함된 건물이다. 화평동으로 1980년대 중반 이사 온 이씨는 담장 바로 옆 “언제 지어졌는지도 모르는 옛날 한옥”에 산다. 그는 주변이 빈집으로 방치되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