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화유산 다양한 관점서 바라보고 제도 재정비해야”

본보 전문가 대담 … 보존·활용안 모색
지역 특색 반영한 조례 등 동력 강조

 

▲배성수(왼쪽) 인천시립박물관 전시교육부장과 이연경 인천대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사진=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배성수(왼쪽) 인천시립박물관 전시교육부장과 이연경 인천대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사진=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근대건축물은 2020년 오늘 어떤 공간일까. 낡고 시대에 뒤처진 개발의 걸림돌일 뿐일까, 아니면 과거와 미래를 이으며 역사를 재해석할 수 있는 자산일까. 철거와 보호라는 이분법적 구도 속에 갇힌 근대건축물을 현 시대에 맞게 활용하려면 제도적 틀을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근대건축물에 대한 폭넓은 시야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관련기사 9면

배성수 인천시립박물관 전시교육부장과 이연경 인천대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 학술연구교수는 지난 2일 인천일보와의 특별 대담에서 “근대건축물 보존·활용은 결국 제도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배 부장은 “제도적 정비는 '투 트랙'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무분별한 근대건축물 철거에 제동을 걸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하는 동시에, 소유주에게 재산권이 침해되지 않는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배 부장은 “인천 지역 특성을 반영한 조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도 “제도화하지 않으면 근대건축물 보존·활용은 동력을 얻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이 교수는 “현실적으로 민간 소유의 근대건축물 철거를 모두 제한하긴 어렵지만, 조례와 같은 제도가 뒷받침되면 조사나 위원회 심의 등으로 제동을 걸 수는 있다”며 “제도적 지원 절차를 알리는 홍보·교육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역사를 전공한 배 부장과 건축을 연구하는 이 교수는 근대건축물을 바라보는 시야가 넓어져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배 부장은 “개항기나 일제강점기뿐 아니라 그 이후의 건축물과 공간에도 관심을 가질 시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 교수도 “최근 인천시가 매입한 신흥동 시장관사만 봐도 1970년대 변형된 주거문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치우치지 말고, 서구 가좌동 '코스모40'처럼 1960~1970년대 건축물 보존·활용 사례도 많아져야 한다”고 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