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명 사명·9명 부상 고잔동 화재
1급 위험물 취급과정 발생 추정

최근 3년 유사사고 지속적 반복
산단 인접한 서구·남동구 위험
안전조례 불구 대비체계는 부실
▲ 20일 오전 인천 남동구 고잔동 화장품 제조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국전기안전공사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합동감식을 진행하고 있다.
인천에서 화학물질 관련 화재·폭발사고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사업장 지도·감독을 강화하는 등 실질적인 예방 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서구와 남동구 등은 화학물질 안전 관리 조례를 제정했지만 사고 예방과 대응은 미흡한 실정이다.

22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19일 인천 남동구 고잔동 남동국가산업단지 내 한 화장품 제조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3명이 숨지고 9명이 부상을 입었다. 화재는 화재폭발 1급 위험물질인 아염소산나트륨을 다루던 중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천에서 이 같은 화학물질 사고는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 지난 7월에도 서구의 한 화학제품 생산업체에서 폭발사고로 근로자 1명이 숨졌다.

2018년에는 폐유와 알코올을 재활용 처리하는 서구 가좌동 이레화학 공장에서 큰불이 났다. 당시 소방당국은 인접지역 소방인력을 총동원하는 대응 3단계령을 내렸다.

인천시가 발표한 '2020년도 화학물질 안전관리 계획'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인천에서 발생한 화학사고는 총 38건이다. 최근 3년 통계만 보더라도 2017년 4건, 2018년 5건, 지난해 3건으로 지속적으로 사고가 발생했다.

서구와 남동구는 산업단지를 끼고 있어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이 밀집해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화학물질을 다루는 제조업 분야는 남동구의 경우 43곳, 서구는 25곳으로 파악됐다.

이에 환경단체는 서구와 남동구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이 산재한 인천의 특성을 고려해 기초단체 단위의 화학물질 안전관리 조례 제정을 제안했다. 화학물질 관련 주요 업무는 환경부 등 정부기관 소관이지만 주민 안전을 위해 지역 차원의 대응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이유였다. 서구는 2018년 10월, 남동구는 지난해 3월 각각 조례를 제정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조례를 토대로 한 사고대비 체계는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사고의 1차적인 책임은 사업주와 직원 등에게 있는 만큼 이들이 화학물질 취급 매뉴얼과 유해성을 제대로 아는 게 중요하다”며 “지방자치단체에 배출량 관리 권한이 생겼지만 지도·감독 인력이 모자라는 등 한계가 있어 인천시나 구청 관련 부서가 적극적으로 나서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신영 기자 happy181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