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선언한 인천시가 또 다시 난관에 빠진 모양새다. 시가 부평·계양 지역 폐기물을 경기 부천시 소각시설에 넘기는 방향으로 협의했지만, 여의치 않아서다. 시는 신설 광역자원순환센터(소각장) 후보지 3곳을 발표하면서 부평·계양구 지역 소각장은 정하지 않았다. 부평·계양 등 북부권 소각장 예비후보지 미발표와 관련해 부천시와 협상에서 진전을 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하지만 부천지역 민심은 그렇지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게다가 부천시 정치권에서 반대해 인천시 계획은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부평·계양구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하루 300t을 태우는 광역 소각처리시설 후보지론 현재 부천시 오정동에 위치한 3기 신도시 대장지구가 유력하다. 앞서 시는 이달 초 부천시와 큰 틀에서 합의를 끝내고 광역 소각시설 현대화 관련 업무협약을 맺을 예정이었지만, 부천 정치권을 중심으로 타 지역 폐기물 반입에 반발하고 나서면서 협약은 연기된 상태다. 부천 정치권은 '폐기물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르는 일이라며 반대한다. 그러면서 할 거면 오정동 굴포 하수종말처리장 지하화 비용 1조7000원을 인천시가 부담하라는 주장을 한다.

가장 큰 문제는 오정지역 주민들의 반발이다. 주민들과 협의도 없이 광역소각장을 추진하고, 굴포 하수처리장과 열병합발전소 현대화 등 피해가 우려되는 대형 사업을 줄줄이 계획하는 일은 주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반대를 이어간다. 특히 인천시의 폐기물을 반입하기로 결정할 경우, 주민들의 여론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오정지역도 이제는 부천의 변두리가 아니라 중심지로 바뀌고 있어, 소각장을 설치하는 일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인천시의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 천명엔 '폐기물은 발생지에서 처리해야 한다'는 원칙이 자리잡고 있다. 인천·서울·경기 모두 각자 쓰레기는 각자 처리하자고 촉구해 왔다. 아무리 당국에선 생활폐기물 소각장을 혐오시설이 아니라고 해도, 지역 주민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인천시가 이런 상황에서 원칙을 어기고 시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다른 지역에 떠넘기겠다는 발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시가 '원리원칙'을 지킬 때 수도권매립지 종료 선언에도 명분이 설 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