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환 논설실장

해양경찰은 1953년 경비정 6척으로 창설됐다. 한해 전 대한민국의 해양주권선으로 선언된 '평화선'을 수호하고 어업자원을 지키기 위해서였다. '이승만 라인'으로도 불린 평화선은 해안에서 평균 60마일까지를 배타적 주권선으로 그어 국제사회에 충격파를 던졌다. 특히 일본과 당시 자유중국(현 타이완)의 반발이 컸다. 해경의 본부도 일본 어선 대응이 급선무인지라 부산에 두고 있었다. 1979년부터 인천으로 본부를 옮겨왔다. 이 후 40년이 넘도록 해경과 인천은 고락을 함께 해왔다. 중국어선들이 서해5도 해상에서 수백척씩 떼를 지어 횡포를 부리기 시작했다. 그들과의 사투 끝에 꽃다운 젊음을 바친 해경대원들도 여럿 있었다.

▶그런 해경이 6년 전 하루 아침에 해체됐다. 세월호 사태의 후폭풍을 견디지 못한 것이다. 그 때 해경은 진도 앞바다에서 참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무능과 무기력을 보여줬다. 그것도 생중계 영상을 통해 전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서였다. 이 날 국민들에 비쳐진 해경의 모습은 참담했다. 파자마 바람의 세월호 선장과 승무원들을 최우선으로 구출해 내고는 끝이었다. 그래선지 그 때는 아무도 해경 해체가 부당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인천시민들만 안타까워 할 따름이었다. 경찰 본연의 수사•정보 기능도 빼앗긴 채 해양경비안전본부로 내려 앉았다. 그 때 다른 기관으로 건너간 해경 인사들이 눈칫밥을 먹는다는 소식도 들려왔다. 시간이 흘러 해경 부활의 목소리가 일어났다. 인천이 앞장에 섰다. 인천일보도 해경 부활을 넘어 해경의 '인천 환원'을 외쳤다. 다시 살아난 해경은 세월호 당시를 반성하고 다짐하는 영상물을 만들어 내놓기도 했다.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북한군 피격에 의해 사망한 사태와 관련, 해경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사태가 알려진 초기부터 해경은 오직 '자진 월북'을 입증하는 데만 몰두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처음 해경은 피격 사망 공무원의 구명조끼 착용까지 월북 단정의 근거로 들었다. 구명조끼와 부유물을 타고 38㎞를 헤쳐 월북했다는 것이다. 38㎞면 100리길이다. 길을 따라걸어서도 쉽지 않는 거리다. 그러나 해경은 부유물을 탄 상태에서 조류와 인위적인 행위(발차기)를 하면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말 인천 송도의 해경청사에서 다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여기서는 도박빚과 꽃게 구입 자금 횡령 등을 들어 자진 월북이라 밝혔다. 국정감사에서 추궁을 당하자 '충동적 월북'이라는 주장도 내놓았다.

▶그래서 어떻다는 것인가. 자진 월북이니 아무 일 없다는 것인가. 육상이든 해상이든 경찰 본연의 임무가 무언가. “해경이 또 희생양 되는 거 아니냐”는 직원들의 우려도 나온다고 한다. 인천시민들에 좀 자랑스런 해경이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