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평화포럼, 학술 심포지엄
자유공원 명칭 복원 등 제안도
▲ 27일 오후 인천 YWCA 강당에서 개최된 '한국전쟁 70주년 성찰과 평화도시 인천의 모색'을 위한 '학술 심포지엄' 토론 순서에서 정세일 대표가 발표를 하고 있다.

생명평화포럼(상임대표·정세일)은 27일 오후 인천 남동구 YWCA 7층 강당에서 '한국전쟁 70주년 성찰과 평화도시 인천의 모색'을 위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전갑생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과 강성현 성공회대 열림교양대학 교수, 박현정 ㈔한반도통일역사문화연구소 연구원이 발제에 나섰다. 이어 최태육 한반도통일역사문화연구소장이 사회를 맡은 지정토론에는 이성재 인천자주평화연대 추진위원회 상임대표, 이희환 인천대 인천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정세일 생명평화포럼 상임대표가 참여했다.

첫 발제에 나선 전갑생 연구원은 '인천상륙작전 계획, 민간인 배제와 도시 파괴'를 주제로 인천상륙작전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했다.

전 연구원은 “인천상륙작전과 관련한 미군의 자료를 살펴보면, '민간인 거주지를 공격하지 말라'는 지침이나 민간인 보호·소개 조치를 찾아보기 어려우며, 오히려 송월, 동인천, 신흥, 용현, 숭의동 일대의 민간인 거주지를 함포사격 범위에 포함시켰다고 주장했다.

특히 미군의 작전계획은 군사 목표물 외에 폭격하지 않는 '전술폭격' 원칙을 세웠으나, 실제로는 무차별 '융단 폭격'에다 민간인을 목표로 삼아 기총소사를 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1950년 9월7일부터 21일까지 이어진 인천 시내 폭격으로, 당시 인천시 4만여 호 가옥 중 1/5이 전소, 반손, 반파됐고 전체 인구 26만5767명(1946년 기준)의 36%가 구호 대상 등 폭격 피해자로 분류됐다고 설명했다.

강성현 교수는 ”냉전을 탈냉전 평화로, 분단에서 탈분단 통일로 발전시키려면, '자유공원'에서 '만국공원'으로 제 이름을 찾게 하고, 전쟁축제 대신에 미군 폭격으로 인한 지역 피해자 위령제를 함께 하는 새로운 평화축제로 기획하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현정 연구원은 인천상륙작전의 통로였던 덕적도 주변 섬에서 미군과 한국 해군이 사전 상륙작전과 첩보작전을 벌이며, 비무장 민간인을 불법적으로 공격한 당시 상황을 주민들의 구술을 통해 소개했다.

그는 “인천상륙작전의 전술적 측면에 대한 역사적 평가가 마무리되었다면, 이제 주민들의 관점에서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9월15일 월미도 제압 이후 인천에 대한 대대적 함포사격, 시가지 소탕전 등에 대해서도 살펴봐야 한다”고 역설했다.

/정찬흥 논설위원 겸 평화연구원 준비위원 report6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