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대와 함께 직면한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인천 폐기물 소각시설을 현대화함으로써 폐자원을 에너지화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윤하연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2일 열린 ‘자원순환과 재활용 시스템 구축을 위한 인천지역 모델 구축 방안 토론회’에서 “단순히 소각시설 처리를 위한 규모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폐기물 소각 과정에서 연료·에너지 등을 얻을 수 있는 발전시설로서의 기능 강화가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기존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온실가스를 줄이는데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인천시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위해 인천만의 친환경 자체 매립지 조성을 추진 중인데, 새로 만들어지는 매립지 규모를 줄이기 위해 직매립하는 폐기물 양을 줄이고 소각장을 통해 폐기물 대부분을 처리하는 ‘친환경 자원순환 체제’ 전환을 준비 중이다.

이를 위해 시는 인천 전역을 남∙북∙서∙중∙동부권과 도서 지역 등 6개 권역으로 나눠 광역 단위 소각시설을 1곳씩 운영할 계획으로, 서구 청라와 연수구 송도 등에 설치돼있는 소각시설도 지속 운영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윤 선임연구위원은 소각시설이 ‘발전시설화’된 일본∙미국 사례를 언급하면서 “인천 기존 소각시설의 에너지 활용률은 70% 이하에 불과한 만큼, 폐자원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열린 토론회는 가톨릭환경연대, 인천환경연구원 등이 공동 주최했다. 발표자로 윤 선임연구위원과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 이사장, 김인태 ㈜록원 대표이사 등이 나서 각각 ‘인천시 자원순환 정책’, ‘자원순환 사회로의 시 전략’, ‘폐아이스팩의 재활용 방안’ 등을 발표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