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일자리 가장 크게 줄어"
"9월, 제조업 일자리 19만개 감소"

 

▲ (KDI 제공)

 

▲ (KDI 제공)

 

▲ (KDI 제공)

 

▲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의 절정기인 9월에 일자리 83만개가 사라진 것으로 분석됐다.

헬스케어, 미용, 여가 등 서비스 업종이 주종을 이뤘으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던 제조업에서마저 일자리가 사라지기 시작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종관 연구위원은 21일 '코로나19 고용 충격의 양상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코로나19가 첫 확산된 4월에 사라진 일자리가 108만개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특히 5월의 경우 사라진 전체 일자리 92만개 중 지역서비스 일자리가 84만개로 91%에 달했다.

지역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 보건업 등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도 코로나19 확산 기간에 일자리가 많이 줄어든 업종은 헬스케어, 미용, 여가, 교육, 여행 등이다.

국민이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생활에 덜 필수적인 서비스 업종에 대한 소비를 더 줄였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 연구위원은 지역서비스업을 넘어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교역산업에도 고용 충격이 점차 발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제조업에서 지난 2월부터 9월까지 모두 16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며 이 충격이 파급되면 앞으로 10년에 걸쳐 그만큼의 서비스업 일자리가 해당 제조업 지역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통상 교역산업에서 일자리 증가는 지역서비스업에 대한 수요 확대로 이어지는 효과를 낸다. 일례로 교역산업의 근로자가 늘어나면서 교육, 미용, 의료 등 지역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창출해 관련 서비스업 일자리가 추가로 늘어나는 식이다.

이 연구위원은 교역산업의 경우 단기적으로 고용 유지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교역산업에서는 일자리가 일단 사라지면 단기간에 다시 생기기 어렵고, 지역서비스업에 2차 고용 충격을 주므로 이들에 대한 고용 유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곽승신 기자 kiss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