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오경(경기 광명시갑) 의원은 문화체육부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중앙행정기관 공공 언어 진단 결과, 정부기관에서 사용하는 어려운 정책 용어를 알기 쉬운 용어로 충분히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어려운 정책 용어 주요 사례는 고용노동부의 K-Move 스쿨은 청년 국외 취업 지원 사업으로, 국토교통부의 PPP 사업은 민관 협력(투자 개발) 사업으로, 스마트 톨링은 통행료 자동 납부로, 국방부의 Kill-Chain은 선제 타격 체계로 개선이 가능하다.

또 문화체육관광부의 콘텐츠 멀티 유즈 랩은 콘텐츠 복합 활용 연구소로, 웰니스 관광은 건강 치유 관광으로, 보건복지부의 매칭 플러스 센터는 노인-일자리 연결 센터로, 중소벤처기업부의 TIPS는 (민간 주도형) 기술 창업 지원으로, 국가인권위원회 글로벌 에이징 센터는 국제 노인 인권 센터로, 농촌진흥청의 스마트 팜 테스트 베드는 지능형 농장 시범 운영 지구로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흔하게 쓰는 용어 중에서 옴부즈만은 정책 자문단으로, 규제 샌드 박스는 규제 유예(제도)로, 바우처는 이용권으로, 밸리는 단지로, 벨트는 지대(지구)로, 플랫폼은 공간으로, 프리존은 자유 이용 공간으로, 허브는 중심지 등으로 개선할 수 있다.

임오경 의원은 “정부기관의 지나친 외래어 사용과 어려운 정책 용어는 국민에게 해당 사업의 특성을 이해하기 어렵게 하고 혼동을 불러일으키는 만큼 우리말로 변경이 가능한 용어들부터 점진적으로 바꿔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광명=장선 기자 now48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