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발생 3년…상인 대응능력 강화
주기적 시설점검·대비훈련 등 실시
비상소화장치 설치율은 62% 그쳐
▲ 19일 오전 9시 인천 미추홀구 용현시장 내 좁은 골목에 소화전이 설치돼 있다. 기둥엔 소화기와 함께 사용법이 부착돼 있다.
19일 오전 9시 인천 미추홀구 용현시장.

장사 준비를 위해 분주한 상인들 사이로 소화기가 보였다. 소화기는 기둥 곳곳에 사용법 안내문과 함께 설치돼 있었다. 상점 안에는 열과 연기 등으로 화재를 인식해 알려주는 경보기가 부착돼 있었고, 좁은 골목들엔 소화전이 놓여 있었다.

재래 김을 파는 A씨는 “전통시장이 화재에 취약한 곳이라는 것을 상인들도 알고 있다 보니 작은 화재라도 조심하고 있다”며 “주기적으로 소방서와 함께 시장 내 소방차 길 터주기 등 훈련도 진행한다”고 말했다.

소래포구 재래어시장에서 큰불이 나 수십여개 상점들이 잿더미가 된 지 3년이 지났다. 이 화재를 계기로 인천지역 전통시장들은 화재에 바짝 긴장하며 대응 능력을 키우고 있다.

이날 용현시장 외에도 동구 송현시장, 중구 신포시장 등 4개 전통시장을 확인한 결과, 곳곳에 소화기가 설치돼 있을뿐더러 시장 초입에 소화전이 놓여 있는 상태였다. 상인들은 소화기 사용법과 인근 소화전 위치를 정확히 숙지하고 있었다.

송현시장에서 35년 동안 야채 가게를 운영한 B씨는 “상점들이 따닥따닥 붙어 있어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늘 조심하고 있다”며 “불이 났을 때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근처 어디에 소화전이 있는지도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소방당국도 긴급 상황 시 소화기와 소화전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달에 한 번꼴로 점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전통시장은 비상소화장치 설치가 안 돼 있을 정도로 여전히 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비상소화장치는 소방기본법에 따라 차량 진입이 곤란한 지역의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을 위해 설치해야 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천지역 전통시장 45곳 중 비상소화장치 설치된 시장은 28곳(62.2%)에 그쳤다. 서 의원은 “전통시장 화재로 인해 소상공인들이 입는 피해가 막대하다”며 “더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비상소화장치 설치율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글·사진 이아진 기자 atoz@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