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의 인구구조를 보이는 인천시 동구가 평생을 살고 싶은 도시에 도전한다. 12일 구는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 가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인천에서는 처음 추진하는 사업으로 파급 효과도 기대된다. 고령화 추세에 부응해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도 적극 나서는 분위기다. 고령화에 따른 도시 환경 전체를 재정비하겠다는 의지와 목표다.

도시는 고령인구에 편입되지 않은 젊은이라 하더라도 미래에 살아갈 터전이다. 노인뿐만 아니라 그 가족과 시민 전체가 생활하기 편한 도시로의 탈바꿈이 요구되는 이유다. 따라서 생애 전체를 통한 주민의 욕구와 생활환경에 부응하는 도시 육성은 당면한 과제가 됐다.

지난해까지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 네트워크에 38개국이 가입됐다. 미국 뉴욕·시카고, 스위스 제네바, 벨기에 브뤼셀, 캐나다 오타와 등 세계 760여개의 주요 도시가 이름을 올렸다. 우리나라는 2013년 서울시를 필두로 현재까지 6개 시·도와 15개 기초단체가 가입 승인을 받았다. 고령친화도시가 한 곳도 없는 지역은 인천을 비롯한 대구, 대전, 강원, 충남 등이다. 고령친화도시 조성은 지방자치단체가 적극 나서고 기업과 대학, 시민 등이 협업 체제를 만들어 나가야 할 분야다.

인천도 늙어가는 도시다. 현재 고령화율은 13.8%이고, 2027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이를 전망이다. 강화·옹진군을 제외한 8개 구에서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이 동구(22.7%)다. 최근 인천시가 '더 나은 고령사회 도시를 여는 인천'을 표방하고 노인복지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인천시의 친 고령사회 추진과 동구의 고령친화도시 방향은 시의적절한 선택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초연금 예산 구조를 탈피해 고령사회 대응 재정도 대폭 확충해야 할 숙제가 남았다.

또 인천의 고령친화도시 육성 인프라는 매우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열악한 실정이다. 노년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또는 지역 대학의 학부 교과과정에서 노년학 전공 영역을 찾아보기 힘든 것도 한 예다. 고령친화도시는 노년을 준비하고 풍요로운 노후를 보낼 환경 조성이다. '노년을 위한, 노인에 관한, 노인에 의한'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이 출발점이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뒤떨어지지 않을 노년사회를 구축하는 것도 삶의 의미를 향상시킬 시대적 요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