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은 시민들에게 각종 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의 일종이다. 많은 시민이 '공공앱'을 이용해 실생활에 도움을 받도록 하는 게 주목적이다. 공공기관마다 '인터넷 시대'에 맞춰 다양한 '앱'을 선보이며 시민들의 호응을 얻으려고 힘을 쏟는다. 공공기관들이 갖가지 앱을 설치해 시민들을 끌어들이는 일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홍보를 강화하는 등 대시민 서비스를 넓히기엔 이만한 것도 없다고 본다.

그런데 효과를 내기도 전에 공공앱이 사라져 시민들을 혼란스럽게 한다. 인천만 해도 최근 수년간 쏟아져 나온 공공앱 상당수가 소리 소문 없이 폐기됐다. 개발 비용만 26억여원에 달한다. 혈세를 허공으로 날려버린 셈이다. 왜 그럴까. 지자체들이 제대로 된 수요 조사 없이 일단 만들고 보자는 식으로 '부실 공공앱'' 양산했기 때문이다. 2016년부터 올해까지 인천시설공단과 인천문화재단을 포함해 인천지역 지자체에서 없애 버린 공공앱은 모두 29개에 이른다.

사례를 보면 어처구니 없다. 시가 1억2500여만원을 들여 제작한 120미추홀콜센터의 경우 '사용율이 저조하다'는 까닭으로 2018년 없어졌다. 인천여행(개발비 2억400만원), 택시안심서비스(5400만원), 인천맛집(1095만원) 등도 2018~2019년 같은 이유로 사라졌다. 3억12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한 인천경제청의 Smart안심이와 연수구의 SafeU(3억1500만원), 강화군의 재난예경보시스템(1억4680만원), 부평구의 여성안심ZONE(100만원)도 시민들의 외면을 받다가 자취를 감췄다. 현재 지자체에 남아 있는 공공앱은 인천시의 안심in 등 6개뿐이다. 전체 폐기율이 83%에 이를 정도다.

대민 서비스를 강화하려면, 우선적으로 수요를 따져봐야 한다. 이용 시민이 아주 적은데, 어떻게 앱을 만들 생각을 하는가. 결국 시민 수요와 활용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성급하게 내놓다간 일을 망친다. 정책 비용을 쓰는 공직자 자세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예산은 무작정 사용하라고 있는 게 아니다. 행정 편의를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 오죽하면 공공기관의 예산을 '혈세'라고 부르는가. 부실 공공앱 폐기를 계기로 보여주기식 마구잡이 출시는 절대 안 된다는 인식을 가지라고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