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10일이면 50주년을 맞는 '광주대단지사건'이 앞으로는 '8·10 성남항쟁'으로 기록된다. 성남시는 지난 8일 '광주대단지사건 명칭 지정을 위한 학술토론회'를 열어 토론회 참석자들의 협의를 통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광주대단지사건은 박정희 정권에 의해 1960년대 후반 서울특별시 재개발을 추진하면서 청계천, 영등포와 용산 등지의 무허가 판자촌 강제 퇴거 주민 2만1372가구 10만1325명을 이주시켰고, 1971년 8월까지 2만5267가구 12만4356명에게 토지 분양과 일터를 약속하고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현 성남시 수정·중원구) 일대로 이주시켰다. 당시 농촌에서 서울로 이주한 사람들 가운데 일부는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서 일했지만, 대다수는 건설 일용노동직, 비정규직, 하층 판매직, 단순 임시노동자들이었다.

이들 강제이주민 5만여명은 1971년 8월10일 최소한의 생계수단 마련을 요구하며 정부를 상대로 생존권 투쟁을 벌였다. 주민 21명이 구속되고 20명이 처벌된 광주대단지사건은 해방 이후 첫 도시 빈민투쟁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광주대단지사건은 정부와 언론에 의해 '주민폭동', '난동' 등의 부정적인 이미지로 덧씌워지면서 명예회복을 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성남시 태동의 역사성을 지난 광주대단지사건의 의미화 작업은 그 무엇보다 중요했다. 우리 사회는 이승만 정권부터 군사정부를 거치면서 시민들의 집단 저항을 폭동으로 규정해왔다. 한국 현대사에 존재했던 국가폭력에 의한 사건인 제주 4·3사건, 여순사건, 사북사건, 5·18광주민주화운동 등도 그러했다. 이들 사건도 역사적 재평가 작업 등을 통해 다시 명예를 회복하고 있다.

이번 광주대단지사건도 단순 도시빈민의 폭동이 아니라 강제이주민들의 생존권 투쟁 즉 도시빈민 저항운동의 의미가 더 크다 할 수 있다. 시는 내년 50주년을 앞두고 명칭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새 명칭의 법제화에도 나선다고 한다. 앞서 성남시는 '광주대단지사건 기념사업 등 지원에 관한 조례안' 통과와 '8·10광주대단지사건 기념사업회'를 출범시켰다. 성남시 탄생의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는 광주대단지사건의 역사적 재평가 작업으로 더 이상 약자의 저항이 폭동으로 불리지 않게 우리 사회가 좀더 넒은 의식적 전환이 필요하다.